- 영문명
- The Theoretical Roles of Endogenous Money in the Post Keynesian Models of Growth and Distribution
- 발행기관
- 한국사회경제학회
- 저자명
- 고민창(Ko Min Chang)
- 간행물 정보
- 『사회경제평론』 제50호, 1~24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포스트 케인지언 성장분배이론에서 노동자 저축 및 내생화폐의 역할을 살펴보고 있다. 포스트 케인지언 이론의 주창자들은 임금은 모두 소비된다는 고전학파의 가정을 받아들여 이론을 발전시켰다. 본 연구는 임금이 모두 소비된다는 고전학파의 가정을 완화해서 노동자 저축과 이에 따른 금융 현상을 가정하고, 이 가정이 포스트 케인지언 거시 이론에서 수행하는 역할을 분석한다. 본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노동자 저축과 내생화폐를 고려할 때에도 케임브리지방정식이 도출될 수 있다. 둘째, 노동자 저축과 내생화폐를 고려하도록 칼레츠키언 성장분배모형을 확장시킬 때 전통적인 칼레츠키언 성장분배모형의 침체주의 가설은 수정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내생화폐를 가정함으로써 어떻게 전통적인 노동자 저축가정의 수학적인 취급의 어려움이 극복될 수 있는지를 보였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s the theoretical roles of workers’ saving and endogenous money in the Post Keynesian models of growth and distribution. Post Keynesian exponents developed the macroeconomic models of growth and distribution under the assumption that workers do not save. However, this study assumes workers’s saving and endogenous money, and analyzes how the assumption exerts influence on the Post Keynesian macroeconomic models. We draw the following conclusions. First, we derive the Cambridge equation, even when considering workers’ saving and endogenous money. Second, the traditional Kaleckian stagnationist hypothesis has to be modified, when workers’ saving and endogenous money are considered. Finally, this study suggests a sensible proposal for mathematical handling of the assumption of workers’ saving.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내생화폐와 케임브리지방정식
Ⅲ. 내생화폐와 칼레츠키언 성장분배모형
Ⅳ.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