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the work-family reconciliation awareness self-efficacy and depression on the life satisfactions of male house holder of children family in Seoul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저자명
- 성미영(Sung Miyoung) 서주현(Suh Joohyun) 민미희(Min Mihee)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20권 제2호, 291~31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서울시의 아동을 가구원으로 포함한 아동가구의 남성가구주를 대상으로 하여 자녀 및 가족 관계에 지속적인 영향을 미치는 그들의 삶의 만족도 및 일-가정 양립 인식 수준을 알아보고, 일-가정 양립 인식, 자기효능감, 우울감이 삶의 만족도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여 삶의 만족도를 제고하고 바람직한 아버지와 자녀의 관계 정립을 돕기 위한 기초 자료를 얻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서울복지실태조사 2013 자료를 이용하여 이 중 아동가구의 남성가구주 851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SPSS ver. 16.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서울시 아동가구 남성가구주의 우 울감과 삶의 만족도는 권역별로 차이가 있어서 권역별로 차별화된 정책이 필요함을 나타내었다. 둘째, 서울시 아동가구 남성가구주의 일-가정 양립인식, 자기효능감, 우울감, 삶의 만족도 모두 연령대별로 유 의한 차이가 있다. 셋째, 서울시 아동가구 남성가구주의 일-가정 양립 인식 및 자기효능감은 삶의 만족 도와 정적 관계를 보였고, 우울감은 삶의 만족도와 부적 관계를 보였다. 따라서, 삶의 만족도를 높이기 위해서는 자기효능감을 높이고 우울감을 낮출 수 있는 세부방안의 수립 및 실행이 필요하다. 넷째, 서울 시 아동가구 남성가구주의 일-가정 양립 인식, 자기효능감, 우울감 중 삶의 만족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 치는 변인은 자기효능감이고, 다음으로 우울감, 일-가정 양립 인식의 순으로 나타났다. 일-가정 양립 인 식의 영향력은 세 변인 중 가작 작았으나 일-가정 양립 인식의 제고를 통한 가족 내의 자녀 및 부부간 바람직한 관계의 정립과 역할갈등의 감소, 그리고 역할만족도의 향상을 통한 자기효능감의 향상이라는 간접적 영향을 통해 삶의 만족도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임을 증명하였다.
영문 초록
To promote better family relationships, this study was focused attention to father’s life satisfaction and work-family reconciliation awareness. We investigated the current levels of life satisfaction and work-family reconciliation awareness and examined the causal effects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awareness, self- efficacy, depression on the life satisfaction of male householder of children family. The subjects were 851 male householder of children family in Seoul.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the levels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awareness, life satisfaction, and self- efficacy of male householder of children family in Seoul are fairly high and the level of depression is fairly low. But, the results are different by district suggesting need for differentiated policy. Second, the levels of work-family reconciliation awareness, self- 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of male householder of children family in are different by age group. Second, work-family reconciliation awareness and self-efficacy have positive effects on the life satisfaction, and depression has a negative effects on it. Third, the most effective factor explaining the life satisfaction of male householder of children family is self-efficacy and depression and work-family reconciliation awareness were also predictors of life satisfaction. Suggestions for the policy to promote life satisfaction and better family relationships were discussed.
목차
요약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연구결과 및 해석
Ⅳ. 결론 및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