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quests of Support for Work Placement Teaching Practice in Kindergartens at a 3-Year College
- 발행기관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학회
- 저자명
- 류혜숙(Ryu Hye Sook)
- 간행물 정보
- 『한국유아교육·보육복지연구』韓國幼兒敎育·保育行政硏究 제20권 제2호, 183~212쪽, 전체 3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3년제 유아교육과 유치원 현장실습에서 나타난 예비유아교사들의 지원요구를 분석하여 효과적인 예비교사 교육 방안과 유치원 현장실습 내실화를 기하고, 교육실습 프로그램 개발에도 활용할 수 있다는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실시되었다. 2015년 9월부터 12월까지 4개월 동안 A광역시 에 위치한 A대학에 다니는 유아교육과 재학생 7명을 연구 참여자로 하여 저널, 심층 면담, 이메일과 SNS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분석결과 첫째, 교사양성기관에 대한 지원요구는 특강과 실습일지 작성법에 관한 오리엔테이션, 근무 시간, 경력 실습지도교사, 교재․교구 제작 시 재료 사용 여부 등에 관한 원에 보내는 공지사항, 실습일 지 양식의 수정으로 나타났다. 둘째, 실습기관에 대한 지원요구는 오리엔테이션, 면담, 다른 학교와 비교 하지 않기, 개인시간 제공, 교재교구 제작 시 재료사용 등을 허용하는 원장과, 오리엔테이션, 관심, 평등 하게 대하기, 일관성 유지, 충실한 수업 운영, 수업시간에 잡무 시키지 않는 실습지도 교사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quests of support, presented in their work placement teaching practice in kindergartens, and then suggest an effective pre-service teacher education plan. The participants of the study were seven freshmen students in the Department of Early Childhood Education at A College, located in A city.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ver three months from September to December 2015. Data acquired through interviews, journals, e-mail and SNS.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Pre-service early childhood teachers' requests of support, presented in their work experience teaching practice in kindergartens, could be classified into agencies for teacher training, and for teaching practice institutions. Requests to the teacher training institute were divided into: providing initial orientation and special lectures on writing placement reports, setting placement working hours, being placed with an experienced teacher, and being provided with teaching resources and materials for making teaching tools. Requests to the teaching practice institutions were divided into requests to the head of the institution – to provide orientation and initial interview, not to compare teachers with teachers from other training institutions, to provide some personal free time, and allow access to classroom supplies for use in-class materials and activities – and requests to teachers at the institution, to provide an initial orientation, to show interest in the pre-service teacher, to be fair, to be consistent, to run engaging interactive classes, and to provide the pre-service teacher with a meaningful role in the classroom. The above study findings can be used as the foundation for establishing a systematic educational program to benefit pre-service teachers undertaking work placement teaching practices at kindergartens.
목차
요약
I.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및 해석
Ⅳ. 논의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