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Characteristics of the Defining Ability of the Elderly in Nouns, Verbs, and Adjective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김예슬(Ye Seul Kim) 윤지혜(Ji Hye Yoon)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1. no.2, 271~283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노화로 인한 의미론적 처리 능력의 감퇴는 목표어휘에 대한 적절한 내용을 이해하고 관련된 어휘를 산출하는 정의하기 능력에 영향을 줄 수 있다. 우리나라의 품사 사용빈도를 보면 명사와 동사, 형용사가 전체 품사의 약 90%정도를 차지하므로 명사뿐만 아니라 다양한 품사에서 관찰되는 정의하기 능력을 확인할 필요가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정상 노인을 대상으로 명사, 동사, 형용사 품사별 정의하기 능력을 살펴보고, 그 수행력을 청년과 비교하여 결과에 따른 임상적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방법: 정상 노인 45명과 청년 45명을 대상으로 총 36개의 단어에 대한 정의하기 과제를 시행하였다. 각 항목에 대한 대상자의 반응 중에서 30초 이내의 발화만을 선택하여 정의반응점수, 반응시간과 정의 유형, 오류 유형을 분석하였다. 결과: 첫째, 정의반응점수는 노년층이 청년층보다 모든 품사에서 유의하게 낮은 수행력을 보였다. 둘째, 품사별 정의유형은 연령 간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셋째, 품사별 정의하기 과제에서 오류 유형은 연령 간 구체명사, 동사, 형용사에서 유의미한 오류 유형을 보였다. 넷째, 품사별 정의하기의 반응시간에서는 구체명사, 동사, 형용사에서 노년층이 청년층보다 유의하게 느리게 반응하였다. 논의 및 결론: 위의 결과를 토대로 노년층은 의사소통 상황에서 구어적 다양성에 제약이 생겨 새롭고 다양한 단어를 연상하고 생성하는 것에서의 어려움을 보임을 확인하였다.
영문 초록
Objectives: Decline of semantic processing ability through aging affects our language de-fining ability which helps us to understand target vocabulary and draw upon related words. It is necessary to investigate defining ability in various Korean word classes such as verbs, adjectives, and nouns. This study attempts to investigate the defining ability of normal Ko-rean elderly and compare their performance with that of younger people. Methods: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45 elderly people and 45 young people. A total of 36 words were performed during a defining word task. Definition response scores, response times, definition types and error types were analyzed only for the words spoken within 30 sec-onds. Results: First, with regard to definition response scores, the elderly group showed significantly lower performance in nouns, verbs and adjectives than the younger group. Second, the definition types of each word cla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between the age groups. Third, definition error types of each word class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concrete nouns, verbs and adjectives between the age groups. Fourth, the elderly group had significantly slower response times in concrete nouns, verbs and adjectives. Conclusion: These findings confirm that elderly groups have difficulty in recalling and gen-erating new and different words in a communicative situation because of limitations on the diversity of their verbal language.
목차
Abstract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