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diom Comprehension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y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송현주(Hyeon ju Song) 김재옥(Jae ock Kim)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1. no.2, 217~229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국문 초록
배경 및 목적: 본 연구는 읽기이해부진 학생들이 일반 학생들과 비교하여 관용표현 이해능력의 차이가 있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방법: 본 연구는 중학교 3학년 학생들 중 읽기이해부진 학생 10명과 일반 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관용표현의 의미투명도 및 문맥 제시 여부에 따른 30문항으로 이루어진 질문지를 검사하였다. 결과: 읽기이해부진 학생들이 일반 학생들에 비해 관용표현 이해능력이 유의하게 낮았으며, 일반 학생들과 달리 읽기이해부진 학생들은 의미투명도와 과제제시 유형이 관용표현 이해능력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읽기이해부진 학생들의 경우에는 문맥 속에서 단서를 끌어내는 능력이 부족하다는 것을 알게 되었으므로 앞으로 읽기이해부진 학생들을 지도할 때에는 그들의 읽기이해능력의 향상을 위해서 그들의 이해 수준에 맞는 적절한 문맥을 활용하는 읽기 수업을 개발하고 진행해 나아가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Objectives: This study aimed to compare the idiom comprehension abilities of middle school students with and without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y depending on seman-tic transparency and the context given. Methods: Ten 3rd year middle school students with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y and 100 without were asked to fill out a questionnaire composed of 30 idiomatic expressions, which wer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by semantic transparency (half transparent, half opaque, opaque) and two types of tasks (independent and context-based). Results: The findings are as follows. The idiom comprehension ability of students with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y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e ability of normal readers. Students with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y were not affected by the semantic transparency of idioms, but normal readers were affected. While normal read-ers were affected by the task type, it had no effect on the idiom comprehension of students with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y. Conclusion: The study indicates that semantic trans-parency and context have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idiom comprehension of students with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y. Therefore, to improve the comprehension of stu-dents with reading comprehension difficulty, they should be exposed to various idioms in diverse situations. Also, reading education should be tailored to their level of understand-ing by developing various education models and utilizing proper contexts.
목차
Abstract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