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Methodological Approaches to the Vulnerability Assessment for the Effect Quantification of Debris Flow Disaster Mitigation Facilitie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이지호(Lee Ji Ho) 이준선(Lee Jun Sun) 이승오(Lee Seung Oh) 전환돈(Jun Hwan Do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6권3호, 359~367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국문 초록
최근 지구 온난화와 기후변화로 인해 자연재해의 강도가 커지고 있으며,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해 토사재해의 피해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특히 국내의 경우 도심지의 인구 밀도가 높아 토사재해에 대해 취약한 실정이며, 따라서 국내 여건에 적합한 토사재해 대응기술이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토사재해의 취약성 분석을 통해 토사재해 저감시설의 효과를 정량화할 수 있는 방법론을 제안하고자 한다. 토사재해 발생시 위험도는 크게 물리적 측면과 인적측면의 위험도로 분류할 수 있다. 토사재해로 인한 물리적 위험도를 평가하기 위해 토석류의 흐름깊이, 흐름속도, 충격압을 이용하였으며, 각각의 인자들에 대한 격자별 위험도를 합산하여 물리적위험도를 산정하였다. 아울러 인적 위험도 평가는 성별/연령별로 흐름속도에 대한 한계수심을 결정하고, 격자별 한계수심과 토석류 발생수심과의 비교를 통해 인적 위험도를 평가하였다. 최종적으로 격자별 취약성은 물리적 측면의 위험도와 인적 위험도를 합산하여 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된 방법론은 토사제어 저감시설 설치시 효과를 정량적으로 파악할 수 있으며, 토사재해 저감시설들과의 조합 및 용량결정에 활용될 수 있다.
영문 초록
Recently, the scale of localized torrential rains, extreme rainfall, and typhoons has become large due to the climate change which is caused by global warming, and the riskiness of debris flow disaster is increasing by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as well. In the case of a domestic situation, it is vulnerable to debris disaster due to high population density of the urban and the debris adaption technique which is suitable to domestic situation needs. In this study, we suggest the methodology to quantify for the effectiveness analysis of debris disaster mitigation facilities. Debris flow disaster vulnerability can be classified as physical aspects and human aspects. Flow depth, flow rate and impact pressure of the debris disaster are used to evaluate the physical vulnerability and physical vulnerability were estimated by summing factors in the grid vulnerability. Human vulnerability assessment is quantified by comparing critical depth of age and gender in grid with occurred mud depth. The suggested methodology can quantify the installation effect of debris flow disaster mitigation facilities, and be used to combination of debris disaster mitigation facilities and its capacity decisions.
목차
Abstract
요 지
1. 서 론
2. 이론적 배경
3. 대상유역
4. 대상유역의 취약성 평가
5. 결 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