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Local Government Safety Management Plan - Focusing on Comparison of Emergency Operations Plan by USA -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곽창재(Kwak Chang Jae) 임상규(Rheem Sang Kyu) 최우정(Choi Woo Jung)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6권3호, 105~115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6.30

국문 초록
재난 등 긴급한 상황에 있어 효율적인 대처는 예방단계부터 대응, 복구까지 단계별로 적절한 계획이 반드시 필요하다. 이러한 계획은 실효성을 가지고 시기적절한 수행을 위해 지속적인 훈련과 교육이 이루어져야 하고 그 결과를 통해 관리해야만 한다. 우리나라의 재난관리계획은 국가에서 수립하는 국가안전관리기본계획과 지방에서 수립하는 시·도 및 시·군·구의 안전관리계획이 있으며, 지방 안전관리계획은 1년마다 한번 씩 수립되어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지방정부의 재난 및 안전관리대책에 대한 수립과정과 2015년의 작성지침에 대한 주요내용을 정리한 것으로 본 연구의 주요관점은 첫째로 미국의 재난운영계획 작성절차의 소개와 우리나라 안전관리계획작성절차와의 비교이고, 둘째는 2015년 시도 안전관리계획과 2015년 시군구 안전관리계획을 상호비교이며 셋째는 미국과 우리나라의 안전계획의 시사점을 통한 우리나라의 지방정부의 안전관리계획 개선방안 모색의 제시이다.
영문 초록
It is critical to develop and maintain appropriate plans for all stages of disaster management in order to respond effectively and efficiently during the emergency situation. The plans need to secure the continuous training and exercise for timely operations of emergency situation. There are three levels of Safety Control Plans including the Master Plans for National Safety Control, Si·Do Safety Control Plans and Si·Gun·Gu Safety Control Plans in Korea. This study analyzed the Safety Plans' developing process and 2015 Safety Control Plan guideline. The study includes three main contents that focus on emergency operations and safety management: (1) making process of Emergency Operations Plan(EOP) in USA; (2) comparing EOP of Colorado State and Si·Do Safety Management Plan and Si·Gun·Gu Safety Management Plan written which was updated in 2015; and (3) drawing implications and suggesting a way of improvement plans.
목차
Abstract
요 지
1. 서 론
2. 지방자치단체 안전관리계획과미국 EOP의 이해
3. 지방자치단체 안전관리계획의 개선방안
4. 결 론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