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Strategies of Teaching and Learning in the Argumentation Education - Focused on the Aristotle’s Rhetoric
- 발행기관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 저자명
- 이정찬(Lee Jung chan)
- 간행물 정보
- 『우리말교육현장연구』제10권 제1호, 403~426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5.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사회적인 현안이나 시사적인 문제 등과 같은 공적 담론의 성격을 지닌 화제를 대상으로 논증 교육을 실시할 경우 그에 적합한 교수-학습전략을 고전 수사학의 논의를 바탕으로 체계화 및 구체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아리스토텔레스에 따르면 수사학은 설득적 담화에 대해 연구하는 학문이다. 특히 ‘토포스’를 강조했는데 이는 보편적인 추론의 전제 혹은 판단의 기준을 의미하였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사회적 현안 등을 화제로 한 논증 교육의 교수-학습 방안을 아리스토텔레스가 제안한 토포스에 근거하여 화제에 대해 해석하기, 사안에 대해 쟁점화하기, 주장에 대해 합리화하기의 세 가지 절차로 구분하고 각각에 대한 교수자의 구체적인 질의 내용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educational methods of argumentation and suggests the concrete strategies of teaching and learning by examine the Aristotle’s Rhetoric. According to Aristotle, Rhetoric is the study on the discussion and the speech to persuade. C. Perelman called these processes of persuasion argumentation. Aristotle enumerates the topos of persuasive speech according to the genre of speech, and uses three universal judgments. They obviously lead to agreement and derive general conclusions of a people. So this study suggests two process in a argumentation; making issue and rationalization, and sets the previous phase: interpretation of a topic by considering the educational characteristics . To make the issue, teacher has to suggest a some aspects of judgment, so this study examines them(Wealth & honor, greater profit and national systems). To rationalize their claims, teacher lets a leaner to confirm the common sense of the issue, find the undeniable evidences and establish the universality of the claims.
목차
요약
1. 문제 제기
2. 왜 아리스토텔레스의 『수사학』인가?
3. 논증 교육의 교수-학습 전략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