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eeking for the direction of Korean language evaluation based on convergence approach
- 발행기관
- 우리말교육현장학회
- 저자명
- 한정현(Han Jung Hyun) 김혜숙(Kim Hey Souk)
- 간행물 정보
- 『우리말교육현장연구』제10권 제1호, 149~180쪽, 전체 3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5.31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융복합교육의 시대 흐름에 따라 효과적인 평가 유형은 어떠해야 하며 구체적인 성취기준은 무엇인가에 대한 탐구이다. 이를 위하여 먼저 융복합적 국어과 평가에서 요구되는 핵심역량이 무엇인가를 살폈다. 핵심역량은 오늘날 교육과정의 기반을 이룰 만큼 교육의 목표로 자리 잡았다. 따라서 기존 논의를 바탕으로 해당 내용을 추출하는 과정은 평가의 구현과도 밀접하게 연관되어 있다. 그리고 융복합교육의 다양한 실천 방법 중 국어과 평가에 적용할 수 있는 것으로 주제 중심 모형을 선택하였다. 주제 중심 모형은 국어과에서 다른 교과들을 무리 없이 수용하여 학습자들에게 실천적인 과제를 부여하는 데 가장 적합하다고 보았다. 이와 함께 평가의 방향을 제시하고 국어과 융복합교육의 구체적인 평가 예시를 담기 위해 노력하였다. 학습자의 과정과 결과를 모두 확인하면서도 융복합이 원만하게 이루어지도록 기존 수행평가와 성취평가의 장점들을 종합하였다. 특히 국어과의 표현하기를 주제로 융복합적인 과제를 선정하고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성취수준을 제시해 보았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a search for the effective evaluation types and the specific achievement standards following up the trend of Yungbokhap Education. The evaluation is perceived as the most objective indicator of the value of Teaching-Learning. And to keep up with the stream of Yungbokhap Education, the evaluation is demanded to be able to verify the whole process and results of learning in an integrated form of various subjects. To this end, key competency that is required to achieve convergence-type Korean language evaluation has been examined. Today, key competency has established itself as a goal of education, constitutive the base of school curriculum. Therefore, based on the existing discussion, the process of extracting the contents of the competency is also closely related to the implementation of evaluation. Among the various ways of practice of Yungbokhap Education, Theme-based model has been chosen to be implementation applied to Korean language evaluation. The Theme-based model is considered to be most suitable to assign a practical task to learners attracting the contents of other subjects to Korean language classes without difficulty. The direction and concrete examples of Korean language in Yungbokhap Education has been presented. The advantages of existing Performance Assessment and Achievement Standard Assessment have been combined so that Yungbokhap is successfully carried out while verifying both the process and results of learning. In particular, some convergence-type tasks about expressing have been selected, and detailed achievement levels for them presented. This start-up study would be a cornerstone of an evaluation-model in accordance with the purpose of the Yungbokhap Education.
목차
요약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2. 융복합교육과 평가의 지향
3. 융복합교육적 평가의 방향성
4. 성과 및 한계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