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User’s Perception of Risk in Social Network Services (SNSs)
- 발행기관
- 한국생산관리학회
- 저자명
- 정다운(Da woon Jung) 김병조(Byung Cho Kim)
- 간행물 정보
- 『한국생산관리학회지』韓國生産管理學會誌 第27卷 第2號, 209~22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5.30

국문 초록
소비자들의 일상화된 인터넷 사용과 소셜네트워크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SNS)의 결합은 의사소통의 방식을 완전히 바꿔 놓은 것은 물론, 기업의 경쟁 환경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다. SNS를 통해 빠르게 확산되는 정보의 통제 및 분석능력이 기업 경쟁력의 중요한 축을 구성하게 된 것이다. 이처럼 SNS의 영향력은 급격하게 증대되고 있지만, 아직까지 개인정보 유출이나 사생활 침해 등 SNS의 부정적 측면을 체계적으로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는 많지 않은 편이다. 본 연구는 보호동기이론(Protection Motivation Theory: PMT)에 근거하여 SNS를 통한 개인정보유출 및 사생활 침해의 심각성에 대한 사용자 인식에 영향을 주는 요인들을 고찰하고자 했다. 이를 위해 본 연구는 SNS 사용자 243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해당 자료에 대한 실증분석을 통해 다음의 내용을 확인하였다: SNS를 통한 개인정보유출 및 사생활 침해라는 잠재적 문제를 두고 (1) 사생활에 대한 우려는 문제의 발생 가능성에 대한 인식의 매개를 통해 문제의 심각성을 인식하는데 유의한 양(+)의 영향을 주고, (2) 이 매개효과는 개인주의-공동체주의에 대한 개인의 성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개인적 성향이 공동체주의에 가까울수록 효과 크기는 줄어드는 경향이 보이며, (3) SNS에 대한 자기효능감은 매개변수의 개입 없이 심각성 인식에 직접적인 양(+)의 영향을 미친다.
영문 초록
Firms are facing new challenges driven by the proliferation of social network services (SNSs) which have changed the way people communicate and interact in their everyday and working lives. Thus, in a new society where most of the people are engaged in SNSs, it is critical for firms to develop a competitive edge in managing and analyzing the information rapidly spreading across social networks. In spite of the growing influence of SNSs, not much attention has been given to understanding the negative aspects of SNS use, such as information leakage and privacy violation. In this study, we apply the protection motivation theory (PMT) to investigate the factors that affect a user’s perception of the severity of information leakage and privacy violation in SNSs. We conducted a survey on 243 SNS users and found the following results: Regarding the potential risks associated with information leakage and privacy violation in SNSs, (1) the level of privacy concern positively affects the perceived severity of risk mediated via the perceived susceptibility of risk, (2) user’s individual propensity towards individualism and collectivism moderates the mediation effect of perceived susceptibil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rivacy concern and perceived severity of risk, and (3) the level of self- efficacy in SNS usage has a positive impact on perceived severity of risk without any mediation effect from perceived susceptibility of risk.
목차
국문초록
Ⅰ. 서론
Ⅱ. 문헌연구 및 가설
Ⅲ. 연구방법 및 분석
Ⅳ. 시사점 및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