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Sports Sponsorship : A Meta Analysis of Korean Research Findings
- 발행기관
- 한국상품학회
- 저자명
- 최지호(Ji ho Choi) 문연희(Youn hee Moon)
- 간행물 정보
- 『상품학연구』제34권 제2호, 127~13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영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4.30

국문 초록
스포츠 산업의 성장에 따라 스포츠 스폰서십 효과에 관한 연구들이 지속적으로 축적되어 왔다. 지금까지의 스포츠 스폰서십 효과 관련 연구들이 개별적으로 진행되어 왔기 때문에 지금까지의 연구들을 통합하여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필요한 시점이다. 이러한 배경에 기초하여 본 연구에서는 2001년부터 2012년까지 국내 학술지에 게재되었던 스포츠 스폰서십 효과에 관한 연구들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국내 스포츠 스폰서십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을 위해 독립변수, 종속변수, 상황변수와 같은 3가지 변수로 설정한 후, 스포츠 스폰서십 효과에 대한 전체 크기의 요약 및 3가지 변수별로 효과의 크기 차이를 분석하였다.
독립변수의 경우 팀 요인, 종목 요인, 적합성 요인, 그리고 활동 요인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종속변수의 경우 이미지, 인지도, 태도, 그리고 행동 변수로 범주화 시킨 후 분석을 실시하였다. 상황변수의 경우 종목, 지역 범위, 스폰서 대상으로 구분하였다. 메타 분석을 통해 도출된 결과들에 기초하여 국내 스포츠 스폰서십 효과 관련 연구 분야의 전체적인 흐름을 요약함과 동시에 스포츠 스폰서십 효과 관련 연구들의 향후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As sports industry has grown up, studies of sports sponsorship effect have been cumulated in the academic field. It is time to provide integrative summery and research directions of sports sponsorship effect. We have executed meta analysis in order to find the total size of sports sponsorship effect and effect difference of main variables using articles published in korea journals from 2001 to 2013. There are three main variables such as independent variables, dependent variable, and situational variable. Independent variables included attitude toward team, attitude toward athletic sports, fitness, and sports sponsorship activities. Image, cognition, attitude, and behavior were considered as dependent variables. Sponsorship target, regional coverage of sponsorship, and athletic sports of sponsorship were selected as situational variables.We discussed about constructive implications and future directions for improvement of sports sponsorshipmarketing research based on results ofmeta analysis.
목차
초록
Ⅰ. 서론
Ⅱ. 메타 분석
Ⅲ. 분석결과
Ⅳ.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