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outh Korea's Unification-related Laws and the Role of Local Governments
- 발행기관
-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 저자명
- 제성호(Jhe Seong Ho)
- 간행물 정보
- 『법학논문집』法學論文集 第40輯 第1號, 411~448쪽, 전체 38쪽
- 주제분류
- 법학 > 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4.30

국문 초록
영문 초록
Local governments could make an important role to lay the foundation for integration of the two Koreas from the grass-root level in the process of national unification. Such a function of local self-governing bodies should be encouraged and enlarged in various areas, including inter-Korean exchanges and cooperation, humanitarian aid, settlement support of residents escaping from North Korea, unification education etc. Notwithstanding the fact, almost all the existing law and regulations of ROK lack the provision for local governments. In light of this point, it is proper for the South Korean government to wholly reexamine the present unification-related laws and regulations, and revise or supplement them in keeping pace with the development of South-North Korean relations.
목차
Ⅰ. 서언 Ⅱ. 통일기반 조성 관련 법제
1. 남북교류협력법 2. 남북관계발전법
3. 남북협력기금법 4. 북한이탈주민법
5. 이산가족교류 촉진법 6. 개성공업지구지원법
7. 북한인권법 8. 통일교육지원법
9. 인도적 대북지원사업 및 협력사업 처리에 관한 규정 Ⅲ. 지방자치단체의 조례・규칙 및 통일 관련 업무・역할
1. 지방자치단체의 조례・규칙
2. 지방자치단체의 통일 관련 사업 실적 Ⅳ. 지방자치단체 역할 강화를 위한 통일 관련 법제 개선방안
1. 지방자치단체의 남북관계 발전 책무 인정
2. 지방자치단체의 남북교류협력 주체성 인정
3. 「남북교류협력추진협의회」의 기능 보완 및 「지방자치단체 남북교류실무
협의회」의 법정기구화
4. 지방자치단체의 남북교류협력에 대한 남북협력기금 지원
5. 대북 인도적 지원 사업자 자격 인정과 중앙정부의 안내 및 지도
6. 지방자치단체간 협의체 설립 및 의견 조정, 북한이탈주민대책협의회에
지방자치단체 대표 참여
7. 지방 차원의 통일교육 내실화를 위한 점검장치 마련
8. 중앙정부와 광역 지방자치단체간의 인사 교류 제도화 등
9. 지방자치단체의 자체적인 역량 강화
Ⅴ. 결어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