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provement of the Linear Predictive Coding with Windowed Autocorrelation
- 발행기관
- 한국전자통신학회
- 저자명
- 이창영(Chang-young Lee) 이채봉(Chai-bong Lee)
- 간행물 정보
-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제6권 제2호, 186~192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4.30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선형예측부호의 개선을 위한 새로운 과정을 제안한다. 코딩에 따른 오차를 줄이기 위하여, 신호에 윈도우를 적용하는 과정과 선형예측 과정의 순서를 바꾸었다. 이 처방은 윈도우를 적용한 자기상관을 이용하여 선형예측부호를 추출하는 것에 해당한다. 기존의 방법에서는 보다 적은 파라미터에 대해 레빈슨-더빈의 재귀적 계산법을 적용하는 것이 가능한 반면,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에서는 더 많은 작업 파라미터에 대한 역행렬 계산이 필요하므로, 보다 긴 계산 시간이 요구된다. 하지만, 여러 음성 음소에 대해 테스트한 결과, 제안된 방법에 의하면 기존의 기술에 비해 약 5 % 적은 파워 왜곡이 얻어짐이 밝혀졌다. 따라서 부호화의 신뢰성에 관한 한, 기존의 기술에 비해 본 논문에서 제안된 방법이 더 나은 것으로 사료된다. 40명에 의해 발성된 50 고립단어에 대한 화자종속 음성인식 시험에서도 제안된 방법이 보다 우수한 성능을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e propose a new procedure for improvement of the linear predictive coding. To reduce the error power incurred by the coding, we interchanged the order of the two procedures of windowing on the signal and linear prediction. This scheme corresponds to LPC extraction with windowed autocorrelation. The proposed method requires more calculational time because it necessitates matrix inversion on more parameters than the conventional technique where an efficient Levinson-Durbin recursive procedure is applicable with smaller parameters. Experimental test over various speech phonemes showed, however, that our procedure yields about 5 % less power distortion compared to the conventional technique. Consequently, the proposed method in this paper is thought to be preferable to the conventional technique as far as the fidelity is concerned. In a separate study of speaker-dependent speech recognition test for 50 isolated words pronounced by 40 people, our approach yielded better performance
too.
목차
I. Introduction
II. LPC: The Conventional Method
III. A New LPC with Windowed Correlation
IV. Experimental Results
V. Conclusion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