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udy on Strategy of National Information for Electronic Government of S. Korea with Public Data analysed by the Application of Scenario Planning
- 발행기관
- 한국전자통신학회
- 저자명
- 이상윤(Sang-Yun Lee) 윤홍주(Hong-Joo Yoon)
- 간행물 정보
-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제7권 제6호, 1259~1273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12.30
국문 초록
최근의 웹에서 유비쿼터스로의 지식정보화사회의 급속한 진행에 의한 IT와 컴퓨팅기술에 있어서의 빅데이터 시대라는 새로운 패러다임 도래는 한국 정부 및 각국 정부에 있어, 전자정부 및 국가정보화 추진에 있어서의 주목할 만한 전환점이 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래예측방법으로 많이 활용되고 있는 시나리오 플래닝 방법론을 적용하여 한국 전자정부 및 국가정보화 발전의 바람직한 미래상을 도출하였다. 곧 빅데이터 시대에 합당한 한국 전자정부 및 국가정보화의 상대적 미래우위전략을 찾고자, 정부의 빅데이터인 공공데이터의 활용에 대한 발전방안을 모색하였으며, 그 결과 한국의 전자정부 및 국가정보화에 부합하는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대국민공개강화 전략을 도출하였다. 또한 ‘인간의 이해’보다는 ‘기계의 이해’를 지향하는 시멘틱웹 기술과 함께하는 링크드데이터 기술의 적용 아래에서의 개발을 제안하였다.
영문 초록
As a society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has been developed rapidly, because of changing from web environment to ubiquitous environment, a lot of countries across the world as well as S. Korea for national information with electronic Government have a variety of changes with big data. So this study is about development for national information and e-government of S. Korea with public data as big data analysed by the application of scenario planning. And then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strategy consulting of national information with e-Government of S. Korea for utilization of public data as big data analysed by the application of ‘scenario planning' as a foresight method. As a result, the future policy for utilization of public data as big data for national information with electronic government of S. Korea is to further spur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for linked data with semantic web for 'understanding of machine' than 'understanding of man'.
목차
Ⅰ. 서 론
Ⅱ. 한국 전자정부와 빅데이터
Ⅲ. 공공데이터기술과 전자정부 전략방향 설정
Ⅳ.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국가정보화 전략방향 설정
Ⅴ. 한국전자정부 정보화와 기계의 이해
Ⅵ. 결 론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