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alysis of Snow Vulnerability and Adaptation Policy for Heavy Snow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권순호(Kwon Soon ho) 박희성(Park Hee seong) 정건희(Chung, Gun hui)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6권2호, 363~368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4.30

국문 초록
최근 세계적으로 이상기후에 따라 폭설이 그 동안의 주기나 공간적 패턴이 없이 나타나고 있으며, 이로 인한 대설에 대비하지 않은 지역에서는 심각한 피해를 받고 있다. 우리나라의 대설은 지역적으로 집중되어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영동지역에서는 5~10 cm이상 혹은 30 cm이상의 눈이 쌓이는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그러나 남부지역은 많은 양의 눈이 내리지 않으므로 1~2 cm적설에도 교통두절 등 간접적인 피해가 많이 발생하고 있다. 이처럼, 대설과 같이 지역별 격차가 심한 경우에는 각 지역의 대설피해의 특성을 충분히 고려하여 피해저감 대책을 세울 필요가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는 과거 재해연보 자료(1994년~2013년)를 활용하여 대설피해 현황 및 사례를 분석하고, 시설물의 방재취약성을 분석하여 시설물의 보완 대책과 시설물의 피해를 최소화하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한다.
영문 초록
The frequency of heavy snow induced by abnormal climate has increased worldwide and the expectation of the cycle and spatial pattern become hard. Severe damage could be occurred in the region without preparation. In South korea, heavy snow is likely concentrated regionally. It is normal to have heavy snow more than 5-10 cm or sometimes more than 30 cm in the east part of Tae-beak mountain. However, in the southern part of Korea, it is very difficult to see snow and the severe traffic jam is experienced by 1-2 cm of snow.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propose an adjusted snowfall policy according to the snow characteristics. In this study, historical snow damage were investigated from the National Disaster Report (1994-2013) and analyzed the vulnerability for snow. The adjusted snow policy could be proposed based on the result of this study.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대설피해의 유형 및 사례
3. 재해등급별 방재취약성 분석 및 대응 대책
4.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