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ffect of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Regional Climate Models on the Drought Severity-Duration-Frequency Analysi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정호(Kim Jung ho) 이정호(Lee Jung ho) 박무종(Park Moo jong) 주진걸(Joo Jin gul)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6권2호, 351~361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4.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대표농도경로 시나리오와 지역기후모형이 가뭄심도-지속기간-재현기간 분석에 미치는 영향을 검토하였다. SDF 곡선의 경향은 RCP 4.5와 8.5에서 동일하게 나타났으나, RCP 8.5의 가뭄심도가 RCP 4.5보다 크게 형성되었다. 공간적 특성결과에서는 두 기후변화 시나리오의 변동비율은 -45.0~50.0%로 비교적 그 범위가 넓은 것으로 판단된다. 지역기후모형간의 SDF는 빈도가 증가할수록 지역기후모형에 따른 가뭄심도의 변동성이 증가하여 전망에의 불확실성이 높아질 가능성을 보였다. 공간적 특성결과에서는, 지역기후모형 GRIMs의 가뭄심도가 다른 지역기후모형들보다 커 양의 변동비율이 지배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변동비율(%)은 지역기후모형별로 그 정량적 규모와 지역적 공간분포 경향이 다르게 나타나 지역기후모형에 따른 가뭄심도-지속기간-재현기간 분석 결과에의 영향을 일부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 of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regional climate models on the drought severity-duration-frequency (SDF) analysis. As a result, we found that SDF curves from RCP 4.5 and 8.5 have similar trend, but the severity of RCP 8.5 is bigger than RCP 4.5. In the spatial distribution results, the rate range (%) of RCP 4.5 to RCP 8.5 was -45.0~50.0%, so it was quite large. In RCMs results, the fluctuation of the drought severities depending on the RCMs has been getting a large uncertainty when the frequency of SDF is increasing. In spatial distribution results, GRIMs was dominant, because its severity is bigger than the other RCMs. However, the rate of GRIMs to the other RCMs shown the difference of the quantitative scale and regional spatial distribution characteristics, so we could find the effect of various climate change scenarios and regional climate models on the drought severity-duration-frequency analysis.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배경이론 및 적용자료
3. 대표농도경로 시나리오별 SDF 곡선 분석
4. 지역기후모형별 SDF 곡선 분석
5.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