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Warning Level-based-Landslide Triggering Rainfall Criteria considering Weathered Soil Type and Landslide Type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강효섭(Kang Hyo Sub) 김윤태(Kim Yun Tae)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6권2호, 341~350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4.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객관적이고 합리적인 강우규준을 설정하기 위해 통계적 기법인 분위수 회귀분석을 적용하여 위험수준별 강우규준을 설정하였다. 또한 통계적인 방법을 통한 I-D 강우규준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높이기 위해서 산사태 DB를 풍화토 종류와 산사태 발생유형에 따라 세분화하여 위험수준별 강우규준을 제시하였다. 분위수 회귀분석에서 얻어진 2nd, 20th 및 50th 분위에 해당하는 회귀선을 기준으로 위험수준별 강우규준을 정의하였다. 즉 2nd이하 분위에 해당하는 경우는 Null, 2nd~20th 분위에 해당하는 경우는 예보, 20th~50th 분위에 해당하는 경우는 주의보, 50th이상 분위에 해당하는 경우는 경보로 구분하였다. 화성암 풍화토 및 퇴적암 풍화토 지역 보다 변성암 풍화토 지역이 강우에 의한 산사태 발생에 민감하다. 토석류는 얕은 산사태에 비해 강한 강우강도를 가지는 강우가 내릴 때 주로 발생함을 알 수 있다. 풍화토 종류와 산사태 발생유형에 따라 산사태 유발 강우규준이 차이남을 알 수 있다. 제안된 위험수준별 강우규준은 2013-2014년의 산사태 자료를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풍화토 종류와 발생 유형에 따른 위험수준별 강우규준은 산사태 예·경보의 정확성 및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영문 초록
In this paper, warning level-based-landslide triggering rainfall criteria was proposed using quantile-regression method to set up a objective and reasonable criteria. Also, in order to increas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proposed rainfall criteria, rainfall criteria were subdivided based on weathered soil types and landslide types. The warning levels obtained from quantile-regression analysis were defined into four classes: null (below 2nd percentile regression line), watch (above 2nd and below 20th percentile regression lines), warning (above 20th and below 50th percentile regression lines), alarm (above 50th percentile regression line). This study indicates the weathered metamorphic soil is more sensitive to rainfall-induced landslide than the other two soil types. Debris flows is more vulnerable in case of high-intensity rainfall. The results showed that rainfall criteria depended on weathered soil types as well as landslide types. Validation of the proposed criteria was carried out using I-D paths of landslide events occurred during 2013~2014. The proposed warning level-based rainfall criteria considering weathered soil types and landslide types could be expected to improve the accuracy and reliability of the landslide early warning system.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풍화토 종류와 발생 유형별 산사태 DB구축
3. 방법론
4. 위험수준별 산사태 강우규준
5. 위험수준별 산사태 강우규준 검증
6.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