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Level Evaluation of Flood Damage Statistics by Multi-criteria Decision Making Technique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강원삼(Kang Won sam) 김원현(Kim Won hyun) 박선희(Park Sun hee) 심우배(Sim Ou bae)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6권2호, 183~19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4.30

국문 초록
최근 기후변화 영향에 따라 인명 및 재산피해를 유발하는 홍수피해가 지속적으로 증가 추세이지만, 홍수피해 통계에 대한 정보는 시설물 복구비 지원 위주의 단순 통계 집적 관리를 위한 목적으로 작성되어 방재정책 수립 시 필요한 기본정보로서의 수준이 미흡한 실정이다. 따라서, 직접피해 뿐만 아니라 실제로 체감할 수 있는 사회·경제 전반에 걸친 방재 대책을 수립할 수 있는 의사결정 정보로서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국내외(한국, 일본, 미국) 홍수피해 통계 항목 및 피해산정방법 등 통계 정보의 문제점·시사점을 고려하여 수준평가 방안을 마련하고 국내 홍수피해 통계 정보의 현재 수준에 대해 평가하였다. 국내 홍수피해 통계 정보는 간접피해 항목을 고려하지 않고 피해 산정시 복구비 지원 위주의 일괄적인 원단위 적용의 문제점 등으로 인해 일본·미국의 약 50% 수준으로 나타났다. 향후 선진외국사례를 고려한 홍수피해 통계 항목의 분류체계를 상세화하여 구축된다면 직간접적 물리적, 사회·경제적 피해산정을 통한 타당한 방재 대책을 수립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영문 초록
Recently, Flood damage that cause life and property damage is a continuously increasing trend in accordance with the impacts of climate change. But information into Flood damage statistics are written in purpose of simple statistics integrated management, so this level is insufficient as basic information required for the policy of disaster prevention. In this study, we arrange level evaluation method consider drawbacks and implications of Korea, Japan and the United States’s flood damage statistics information in order that we evaluate level of flood damage statistics information as decision making information across the social and economic that we can actually feel, as well as direct damage. And we analyzed the current level of domestic flood damage statistics. Domestic flood damage statistics showed about 50% level of Japan and the United States due to problem that damage estimate support oriented restoration expense without considering the indirect damage items. If we build a detailed classification of flood damage statistics considering the advanced foreign statistics, we will establish a reasonable disaster prevention through directly or indirectly physical, social and economic damage assessment.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국내외 홍수피해 통계 정보 조사
3. 홍수피해 통계 정보의 수준평가 방안
4. 홍수피해 통계 정보 수준평가 및 분석
5.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