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 of action-observational physical training based on mirror neuron system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
- 발행기관
- 한국전자통신학회
- 저자명
- 고효은(Hyo-Eun Ko) 박진주(Jin-Ju Park) 이경주(Kyung-Ju Lee) 이은희(Eun-Hee Lee) 오명화(Myung-Hwa Oh)
- 간행물 정보
- 『한국전자통신학회 논문지』제9권 제1호, 123~130쪽, 전체 8쪽
- 주제분류
- 공학 > 전자/정보통신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1.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동작관찰-신체훈련이 뇌졸중 환자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 지 알아보고자 실시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19명이며 실험군 10명, 대조군 9명으로 나누었다. 실험군은 일반 작업치료와 동작관찰-신체훈련을 병행하였고, 대조군은 일반 작업치료와 동작관찰만을 시행하였다. 훈련 과정은 4주였으며, 주 3회, 회당 30분씩 훈련에 참여하였다. 대상자 선별 후 WMFT와 MBI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전-후 평가를 실시하여 증진 정도를 보고자 하였다. 그 결과 대상자들의 상지기능과 일상생활활동은 두 그룹 모두중재 후 유의한 증진을 보였다(p<.05). 하지만 각 측정 시점간의 두 군의 차이는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영문 초록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termine the effect of action observational physical training o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activities of daily living in stroke patient. 19 hemiparetic patients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d were randomly selected into an experimental group and a control group. An experimental group observed performance actions of purposeful activity task through a video and imitated actions with the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and a control group only observed actions with the traditional occupational therapy. Traing was performed 3 times a week and 30 min for each round for 4 weeks. WMFT were performed for an upper extremity function and MBI were performed for activities of daily living. As a result, WMFT and MBI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before and after in two groups but didn’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wo groups.
목차
Ⅰ. 서 론
Ⅱ. 연구방법
Ⅲ. 결과
Ⅳ. 고 찰
참고 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