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Discussion of transfer of capital in the middle and latter of Koryo period and Meaning of Hanyang transfer of capital in the early of Chosun period
- 발행기관
- 서울여자대학교 인문과학연구소
- 저자명
- 이원명(Won myung Lee)
- 간행물 정보
- 『인문논총』28, 189~232쪽, 전체 44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기타인문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4.02.28

국문 초록
본고는 “고려 중·후기 천도 논의와 조선조 漢陽 遷都의 의미”에 관한 연구이다. 필자는 이를 위하여 <고려 중·후기 南京(한양)으로의 천도 논의>과 <공민왕대 이후 反元運動과 한양 천도 논의> 및 <조선초 치열한 천도 논의와 漢陽 遷都의 의미>로 나누어 고찰하였다.
이러한 고찰은 한양이 종래 조선의 수도로서 600년의 역사 뿐 아니라, 삼국시대 이래 2000년의 역사의 중심지로서 그 의미를 재음미하고자 하기 위함이다. 특히 조선초 한양 천도 논의 과정은 조선조 儒敎社會로의 시대적 변화의 산물이자, 새로운 시대의 도약을 알리는 상징이었다고 할 수 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studies .
In such case, the writer of this article search divided 'Discussion to transfer of capital Namgyung(南京; 한양) in the middle and latter of Koryo period' and 'Movement of anti-Mongols of after King of Gongmin(恭愍王) and discussion to transfer of Hanyang(漢陽) capital, and after keen battle of discussion of transfer of capital in the early of Chosun period.
This search is not Hanyang as a history of 600 years traditional capital of Chosun, but take review since the period of the epoch of the three kingdoms, as a center of 2000 years. Like this discussions and decision process of transfer of capital from the middle and latter of Koryo dynasty is able to the result of change and symbol move into a new epoch. Especially, discussion process of transfer of Hanyang(漢陽) capital in the early of Chosun dynasty is a result of change the confucian society(儒敎社會) and symbol move into jump of a new epoch.
목차
국문요약
1. 머리말
2. 고려 중·후기 南京(한양)으로의 천도 논의
3. 공민왕대 이후 反元運動과 한양 천도 논의
4. 조선초 치열한 천도 논의와 漢陽 遷都의 의미
5. 맺음말
참고문헌
영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