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among Speech Perception Vocabulary Size and Articulation Accuracy in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 발행기관
-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 저자명
- 하승희(Seunghee Ha)
- 간행물 정보
- 『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Communication Sciences & Disorders vol21. no.1, 15~23쪽, 전체 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3.31

국문 초록
만 4-6세 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아동의 종성파열음에 대한 말지각 능력을 살펴보았다. 말지각 능력과 어휘력, 자음정 확도와의 관계를 분석함으로써 말소리 산출과 어휘 습득에 있어 말지각의 역할도 살펴보았다. 방법: 말소리장애 아동 33명과 일반아동 35명에게 두 쌍의 일음절 단어에서 종성파열음의 음향 정보를 모두 제공한 조건과 종성의 음향 구간 끝에서 40 ms와 60 ms씩을 잘라 낸 조건을 제시하였다. 아동의 반응을 d-prime 값으로 변환하여 분석하였으며 말소리장애 아동을 언어문제 동반 여부에 따라 두 집단 으로 분류하여 말지각 능력을 비교하였다. 회귀분석을 통해 말지각과 연령, 어휘크기, 자음정확도와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결과: 음향 정보를 모두 제공한 조건과 -40 ms과 -60 ms의 게이팅 조건 모두에서 집단 간 d-prime 값이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전체와 -40 ms 조 건에서는 단순말소리장애와 언어문제를 동반한 말소리장애 집단 간 차이가 유의미하지 않았으나 두 집단은 모두 일반아동과는 유의 미한 차이를 보였다. -60 ms 조건에서는 언어문제를 동반한 말소리장애 아동이 단순말소리장애 아동과 일반아동보다 말지각력이 유의 미하게 낮았다. REVT 수용어휘 원점수와 APAC 원점수가 유의미하게 말지각 능력을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 구는 말소리장애 아동이 음향 정보가 완전한 조건에서도 말소리를 정확하게 감지하고 구별하는 데 어려움을 보이고, 말지각력이 어휘 와 조음 능력과 관련 있음을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ability to perceive final conso¬nants of children with speech sound disorders (SSD) in comparison with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ge 4 to 6 years old. This study also examines the relationship among speech perception, vocabulary size, and articulation accuracy. Methods: Thirty-three children with SSD and 35 typically developing (TD) children were asked to identify consonant-vowel-consonant one syllable words in whole words and gated conditions (-40 ms and -60 ms). The d-prime values were used to determine the children’s ability to attend to fine phonetic details. Children with SSD were divided into two groups by comorbidity of language disor¬ders and had their speech perception performances compared with TD children. A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was performed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among speech per¬ception, vocabulary size, and articulation accuracy. Results: Group differences appeared in both whole word and gated conditions. Children with SSD and language disorders showed no differences when compared with children showing articulation problems only in the whole word and -40 ms gated conditions. Both SSD groups showed lower speech percep¬tion than TD children. In the -60 ms gated condition, only children with SSD showed signifi¬cantly lower speech perception performances than TD children. Receptive vocabulary size and articulatory accuracy were significant predictors of speech perception. Conclusion: The results suggest that children with SSD show deficits in speech perception and that the ability to attend to fine phonetic details is related to vocabulary size and articulation skills.
목차
Objectives
연구 방법
연구 결과
논의 및 결론
REFERENCES
국문초록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