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Relationship between Organizational Culture and Organizational Competency of Fire Fighting Organizations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JuHo Lee SangIl Ryu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2 No.2, 99~108쪽, 전체 1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2.29

국문 초록
이 연구는 위계규범적 조직문화가 소방의 조직역량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분석결과, 소방조직의 위계규범적 조직문화 중에서 목표달성과정 중시 요인, 부서의 분산화 요인, 유연한 통제방식 요인, 규범적 지배복종관계 요인은 조직역량에 정(+)의 유의미한 영향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결과가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 소방의 조직역량을 높이기 위해서는 목표달성과정을중시하는 한편, 부서의 권한을 집권화하기보다는 분산시키는 것이 필요하며, 강압적이기보다는 유연한 통제가 필요하고, 권위적이기보다는 다소 규범적인 조직문화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소방조직의 조직역량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과업지향 문화(β: 0.519), 관계지향 문화(β : 0.376),전문지향 문화(0.252)순으로 중요한 것으로 나타난 반면, 권위지향 문화(β :-0.235)는 조직역량을 떨어뜨리는 조직문화로써 향후 지양해야 한다는 점이 검증되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examine how a hierarchical and normative organizational culture influencesthe organizational competency of fire fighting organizations in the Busan area. According to the resultsof analyses on the factors of hierarchical and normative organizational culture in fire fighting organizations,emphasis on goal achievement process, department decentralization, flexible control, and normative dominant/subordinate relationship had a significant positive effect on organizational competency. In addition,task-oriented culture turned out to be most important to be promoted for higher organizational competency,followed by relationship-oriented culture and specialty-oriented culture. However, authority-oriented culturewas found to impair organizational competency and therefore to be avoided in the future.
목차
Abstract
Ⅰ. 도 입
Ⅱ. 이론적 논의
Ⅲ. 연구 설계
Ⅳ. 분석결과 및 시사점
Ⅴ. 결 론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