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reamlining Disaster Information Management for Natural Disaster Risk Reduction
- 발행기관
- 위기관리 이론과 실천
- 저자명
- JungPyo Seo WonCheol Cho ChonJik Bae
- 간행물 정보
- 『한국위기관리논집』Crisisonomy Vol.12 No.2, 1~1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행정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2.29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자연재해 경감을 위해 우리나라에 실질적으로 필요한 방재정보 관리 필수 요소(내용 요소, 과정요소, 상황요소)와 효율화 방안을 제시했다. 자연재해 경감을 위한 방재정보 관리 효율화 방안으로 i) 첫째, 내용요소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① 방재정보 통신 인프라 보강, ② 도시 및 지역방 재시스템의 구축, ③ 방재정보의 동시성 보장, ④ 방재정보의 공유성 확보 등의 개선이 필요하며, ii) 둘째, 과정요소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① 예방단계의 재난 위험지역 분석기술 및 재해영향평가 기술의 적용, ② 대비단계의 각종 ICT 기술을 활용한 재난 예⋅경보 기술의 적용, ③ 대응단계의 상황판단 기능을 제고할 재해현장 정보수집, 전달과정에 ICT 기술의 적용, ④ 복구단계의 재해 피해 액 평가기술과 피해액 산정기술의 적용이 필요하고, 마지막으로 iii) 상황요소에 대한 개선방안으로 ① 방재정보 관련법과 제도 정비, ② 방재업무별 영역성 확보, ③ 상황판단 기능 향상, ④ 종합 및 환류 기능 확보, ⑤ 매스 미디어의 역할 확립 등이 필요한 것으로 밝혀졌다.
영문 초록
This study reveals several essential factors to be improved for an effective management of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on in order to reduce natural disasters. First, the content factors include reinforcement, construction and synchronization. Second, the process factors include application of technology in analyzing disaster-prone areas and estimating disaster impacts (in the prevention stage), application of disaster warning and alert technology using various ICTs (in the preparation stage), and application of the ICT for collecting and sharing disaster site information in order to boost the situation assessment (in the response stage). Finally, the situation factors include improvement of laws and systems related to disaster prevention information, definition of the scope of disaster prevention tasks, and establishment of the integration and evaluation functions.
목차
Abstract
Ⅰ. 서 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우리나라 방재정보관리의 실태와 문제점
Ⅳ. 방재정보 관리의 효율화 방안
Ⅴ. 결 론
Reference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