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Location of the Hub Distribution Center in the Europe with Air Freight Transportation Effects
- 발행기관
- 한국물류학회
- 저자명
- 박정현(Park, Jung-Hyun) 김태복(Kim, Tae-Bok)
- 간행물 정보
- 『물류학회지』제26권 제1호, 1~15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2.29

국문 초록
전 세계적으로 자유무역협정(FTA)이 활발히 체결되고 있다. FTA는 무역창출 및 무역전환효과가 발생되어 물류수요가 창출되
거나 기존에 수행해오던 물류체계에 대한 변화를 초래할 수 있어, 물류 서비스를 제공하는 3자 물류업체들은 이러한 변화에 대응하기 위해 물류센터를 포함한 수배송 서비스 전반에 걸친 물류 네트워크 체계의 재조정이 필요하다. 그러나 항공물류의 경우 공항과 항공 운송사를 중심으로 움직이는 물류 특성으로 인해 3자 물류업체는 자사의 특성에 맞는 물류센터 입지를 선정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어, 2011년 7월 한국-EU FTA가 발효되었음에도 불구하고 EU 내에 우리나라 물류 경쟁력 제고를 위한 항공화물 허브물류센터 입지에 관한 연구는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우선 한국-EU FTA에 따른 항공화물 물동량 변화를 점검한다. 그리고 허브 네트워크는 규모의 경제효과가있다는 전제 하에 Hub-and-Spoke 체계를 한국과 EU 국가들 사이에서 발생한 실 항공화물 데이터를 근거로 항공기의 연간 총 연료소모량과 수송비를 추정해 보았다. 이러한 추정치를 이용해 최적 허브물류센터의 입지를 연구해 Hub-and-Spoke 방식이 Point-to-Point 방식과 비교했을 때 우수한 이점을 갖는지도 분석해 보았다.
영문 초록
Free Trade Agreement(FTA) has been actively engaged in global. FTA has a trade creation and diversion effects. These effects create the logistics demand. Therefore, it is possible to bring about some changes in the distribution system and logistics service providers should respond to these changes. It means logistics service providers are required readjustment of their distribution network for a shipping services, including logistics(distribution) centers. However, air freight logistics has some characteristics that logistics service providers should move with the airport location and the air transport company in order to provide their service. Therefore, logistics service providers have some difficulty in selecting distribution centers which are suitable for their logistics characteristics. Even though Korea-EU FTA took effect in July 2011, there was no study about air freight hub location. Therefore, this study looks into the change situation of the air freight volume associated with the Korea-EU FTA. And, with the premise that the Hub-and-Spoke network has the effect of the economy of scale, it tries to estimate the total annual fuel consumption of aircraft and transportation costs in order to solve where is the optimal hub location in EU on the basis of the real-air freight data that occurred between Korean and EU.
목차
Ⅰ. 서 론
Ⅱ. 기존 문헌 고찰 및 항공물류 환경 분석
Ⅲ. 허브물류센터 입지 실증 분석
Ⅳ. 결론 및 한계점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