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pact Analysis of Residental Environmental Factors on the Residential Housing Satisfaction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학회
- 저자명
- 김윤옥(Kim, Yun Ock) 박병남(Pack, Byung Nam) 김갑열(Kim, Gab Youl)
- 간행물 정보
- 『부동산학보』不動産學報 第64輯, 227~240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2.15

국문 초록
안전이란 사람의 생명이나 신체, 재산 등에 피해를 받지 않고 편안하고 건강한 생활을 하는 것이다. 안전은 주거환경과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범죄, 교통, 화재 등 일상생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안전사고 등을 포괄적으로 다루어야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안전을 주거생활에서의 안전으로 정의하고 구성요인을 생활안전, 교통안전, 범죄예방 및 대응으로 구분하고 주거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과 사고피해경험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생활안전시설과 교통 및 주차안전시설에 대한 인식은 주거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나, 범죄 예방 및 대응 시설은 유의한 영향을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안전한 주거환경의 중요성과 시설 강화를 위한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영문 초록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is research aims to analyze to provide the basic data needed to build safe residential environments by analyzing the relationship between safe living environments and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2) RESEARCH METHOD
The identification of the characteristics of domestic environments which prevent a variety of accidents people who live in public housing face in their daily lives is needed. In this study, thus, the importance of safe living environments factors will be investigated firstly. Secondly, the effect which safe living environments factors have on people’s residential satisfaction will be analyzed. Thirdly, how the experiences of damage from an accident affec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safe living environments and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will be analyzed.
(3) RESEARCH FINDINGS
From the analysis of the data based on 219 people who live in public housing, first, among the safe living environments factors, of the life safety environment is very important predisposing factor of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Second, traffic safety environments are found to improve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Third, the crime prevention and the response to crimes are found not to affect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Fourth, safe living environments affect to the residential satisfaction regardless of the experience of the damage from an accident. This can be interpreted as the importance of establishing safe living environments and therefore, the safety of the residents is emerging.
2. RESULTS
As a results of this study, the perception of safety facilities of the community and traffic and parking safety facilities have a positive impact on residential satisfaction. However, crime prevention and response to crimes facility are not found as significantly effective. Based on these results, a plan to reinforce the importance of safe living environments and facilities is presented.
목차
Ⅰ. 서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이론적 배경
1. 안전한 주거환경의 의의
2. 안전한 주거환경과 주거만족
3. 선행연구의 검토
Ⅲ. 연구설계
1. 연구모형
2. 연구가설
3. 자료수집 및 표본의 특성
4. 변수의 구성 및 특성
5. 탐색적 요인분석과 신뢰성분석
Ⅳ. 분석결과
1. 주거만족도의 영향요인
2. 사고피해경험의 조절효과
Ⅴ. 결론
1. 연구결과의 요약과 시사점
2. 연구의 한계와 과제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