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good instruction i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 levels
- 발행기관
- 고려대학교 교육문제연구소
- 저자명
- 정한호(Jeong, Hanho)
- 간행물 정보
- 『교육문제연구』敎育問題硏究 第58輯, 281~307쪽, 전체 27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6.02.24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초․중등학교의 특수학급에서 이루어지는 좋은 수업에 대한 특수교사의 전반적인 인식과 학교급 및 교직경력에 따른 인식의 차이를 탐색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이를 위해 초․중등학교 특수교사들을 대상으로 좋은 수업의 관점과 특성에 대한 인식을 설문하고 차이를 탐색하였다. 특히 본 연구에서는 1) 좋은 수업에 대한 특수교사들의 전반적인 인식, 2 ) 학교급에 따른 차이, 3) 교직경력에 따른 차이를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본 연구에 참여한 특수교사들은 수업환경 및 분위기를 특수학급에서 수행되는 좋은 수업의 가장 중요한 요건으로 인식하였다. 둘째, 학교급에 따라 좋은 수업에 대한 특수 교사들의 인식에는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비록 통계적으로는 유의하지 않았지만, 내용구성, 교수방법 및 전략, 수업환경 및 분위기, 평가 등에서 중등 특수교사의 인식이 초등 특수교사보다 높게 나타났다. 셋째, 교직경력에 따라 좋은 수업에 대한 특수교 사의 인식에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더불어 교 수방법 및 전략적인 측면에서도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탐색할 수 있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바탕으로 논의 및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fferences in special edu 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goo d teaching in special classes of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ccording to the level of schools and teaching experiences. For this study, a survey targeting special education teachers was conducted to identify t heir perceptions of good teaching, and a one-way ANOVA was used to analyze the differences. The cur rent study was attempt t o analyze 1) special education teachers' general perceptions of good teaching, 2) 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evels of schools, 3)the difference according to the levels of teaching experiences.The results of this study, first, for special education teachers who participated in this study, the classroom environment and atmosphere were recognized as the most important requirements of good teaching in special classes. Second, there were differences in special edu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good tea ching between primary and secondary schools. Although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second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were higher than primary
school teachers’ perceptions in areas such as configuration of instruction contents, teaching methods and strategies, learning environment and atmosphere, evaluation. Third, there were differences in special edu cation teachers' perceptions of good teaching according to the level of teaching experiences. In addition, we investigated that there were differences in instruction methods and strategical areas.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 theoretical and practical implications for good instruction are being discussed.
목차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Ⅱ. 좋은 수업과 관련된 선행연구
Ⅲ. 연구 방법
Ⅳ. 연구 결과
Ⅴ. 결론 및 제언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