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conomic Effects of Korea-Canada FTA Using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
- 발행기관
- 한국국제상학회
- 저자명
- 이상호(Sang Ho Lee)
- 간행물 정보
- 『국제상학』國際商學 第30卷 第4號, 213~226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국문 초록
이 논문에서는 한ㆍ캐나다 FTA의 관세감축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연산일반균형모형을 이용하였다. 첫째, 한ㆍ캐나다 FTA에 따른 우리나라의 국내총생산(GDP)은 0.066%(1.08십억 달러)에서 0.065%(1.05십억 달러)까지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반해 캐나다의 GDP는 0.035%(0.72십억 달러)에서 0.046%(0.94십억 달러)까지 증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둘째, 한ㆍ캐나다 FTA로 인해 자동자, 수송장비, 전자기기 등 제조업의 산출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산업부문의 생산 증대효과는 수출증가 효과와 산업부문별 생산요소 대체효과에 따른 것이다. 셋째, FTA 발효에 따른 관세감축으로 인해 자동차, 수송장비 등 제조업의 수출은 증가할 것으로 분석된다. 넷째, FTA 발효에 따른 생산요소 시장의 변화를 살펴보면, 산출이 증가하는 자동차 및 수송장비 등은 노동 및 자본 수요가 증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economic effects of Korea-Canada free trade agreement.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This paper uses a computable general equilibrium model with 24 sectors and 10 regions with perfectly competitive model.
Results : Our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the Korea-Canada FTA would bring from 0.066%(Scenario 1) to 0.065%(Scenario 2) increase in GDP for Korea. In contrary to Korea, Canada get a GDP increase from 0.035% to 0.046% in GDP. Second, agricultural GDP in Korea would bring from 0.178% to 0.165% decrease, while the Canada get an increase in from 0.280% to 0.286% in agricultural GDP. Third, according to the sectoral effects, we found that the output of motor vehicles and parts would increase.
Conclusions : This is because Korea has a comparative advantage in producing and exporting motor vehicles and parts.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한ㆍ캐나다 FTA 협상 및 교역현황
Ⅲ. 분석모형 및 자료
Ⅳ. 분석결과
Ⅴ. 요약 및 결론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