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moderating effects of external environment factors on the new product performance of the SMEs exporting precision parts in global market
- 발행기관
- 한국국제상학회
- 저자명
- 조연성(Yeon Sung Cho)
- 간행물 정보
- 『국제상학』國際商學 第30卷 第4號, 173~192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무역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정밀부품 수출 중소기업의 신제품 개발성과에서 기업가지향성, 시장지향성, 외부환경 요인의 영향을 분석하였다. 외부환경 요인으로 해외시장 불안정성과 기술변화속도를 설정하여 두 요인과 기업가지향성, 시장지향성의 조절효과를 분석하였다. 102개 정밀부품 수출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조절효과를 포함한 7개 가설을 PLS(Partial Least Square) 구조방정식 모형으로 실증분석 하였다. 분석결과 기업가지향성은 시장지향성과 신제품 개발성과에 모두 긍정적 영향을 주었다. 시장지향성 역시 신제품 개발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보였다. 조절효과에서는 기업가지향성과 두 외부환경 요인이 모두 신제품 개발성과에 유의한 조절효과를 보여주었다. 반면 시장지향성은 기술변화속도와는 유의한 조절효과가 있었지만 시장 불안정성과는 조절효과를 보여주지 못하였다. 분석결과는 외부환경의 격변성이 높을수록 기업가지향성의 적극적, 혁신적 성향을 높여 신제품 개발에 필요한 조직문화와 자원투입에 적극적이어야 함을 시사한다.
영문 초록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of the entrepreneurial orientation(EO), the market orientation(MO) and the external factors as a moderator on the new product performance.
Research design, data, methodology : Based on the existing research, this paper proposes 7 hypotheses including the moderating effects. After survey completed, 102 questionnaires were finally collected
Results : Analysis result showed significant relationship among the EO, MO and the new product performance. For the 4 moderated effects, except the moderating effect of the MO and the market turbulence, others had a positive moderating effect on the new product performance.
Conclusions : The results of this research implies that SMEs exporting precision parts should concentrate on developing the EO and MO when external turbulence is high.
목차
Abstract
국문초록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과 가설설정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