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the Round Stool of Koryo and Chosun Periods
- 발행기관
- 한국조형디자인학회
- 저자명
- 홍선아(Hong, Sun-ah)
- 간행물 정보
- 『조형디자인연구』조형디자인연구 제18집 3권, 95~108쪽, 전체 14쪽
- 주제분류
- 예술체육 > 미술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09.20
국문 초록
본 논문은 삼국시대부터 조선시대까지의 원등에 대해 통사적으로 고찰하여 원등의 시대별특징을 살펴 본 것이다. 삼국시대에는 북위(北魏), 북제(北齊)의 반가사유상의 좌구에서 영향을 받은 가운데가 잘록하게 들어간 장고형태의 요고등(腰鼓凳)이 6세기 중반 경의 반가사유상의 좌구로 나타난다. 고려시대에 사용된 원등은 불교회화에서 가장 많이 보이며 일반회화나
공예품의 문양 등에서도 볼 수 있다. 조선시대의 원등은 중국 명식가구(明式家具)의 영향을 받아 사대부의 문방이나 정원에 놓여져 사용되었는데, 나무로 만든 칠기제 원등의 모습을 일반회화에서 찾아볼 수 있다. 고려시대의 원등은 중국 고대와 중세의 원등과 마찬가지로 불교사원에서 승려나 수행자의 선정을 위해 사용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며, 고려, 조선시대의 원등은
당시의 지배계층에서 주로 사용됨으로써 앉는 사람의 권위를 상징하였다.
영문 초록
This paper gives an overview of the history of a round stool from the Three Kingdom period to the Chosun period. In the Three Kingdom period, a waist drum stool contracted in the middle, influenced by the seating furniture for the Pensive Bodhisattva of the Northern Wei and the Northern Qi appears as the seating furniture for the Pensive Bodhisattva in the 6th century. The round stool used during the Koryo period appears the most in the Buddhist paintings and also appears in the general paintings, the patterns of craftwork. Influenced by the Ming style
furniture, the round stool of the Chosun period was used by placing it in a study or a garden, and a lacquered round stool made of wood can be seen in the general paintings. The round stool of the Koryo period is supposed to be used for the meditation of Buddhist monks or ascetics at a Buddhist temple, like that of Chinese ancient and medieval times, and the round stool of the Koryo and Chosun periods symbolizes the authority of the person who sits on it, mainly used by the ruling class.
목차
Ⅰ. 서 론
Ⅱ.불교의 동점과 중국의 원등
1. 고대(古代)~오대(五代)의 원등
2. 송대(宋代)~청대(淸代)의 원등
Ⅲ. 삼국시대~조선시대의 원등
1. 삼국시대의 원등
2. 고려시대의 원등
3. 조선시대의 원등
Ⅳ. 결론
□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