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Juvenile Delinquency and Correction Welfare
- 발행기관
- 한국범죄심리학회
- 저자명
- 이금숙(Lee Geum Suk)
- 간행물 정보
- 『한국범죄심리연구』제11권 제3호, 182~209쪽, 전체 28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심리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1

국문 초록
본 연구는 청소년범죄 실태와 소년보호처분에 대해 분석하고 교정복지적 실천방안을 탐색하고자 한다. 청소년범죄와 관련된 교정복지적 실천개입방안은 청소년범죄에 대한 현장이해와 제도를 명확히 이해한 후 마련되어야 소년범죄에 대해 효율적으로 대처할 수 있다. 전체범죄인원중 소년범죄인원은 증가하고 있으며 저연령화 추세에 있다. 또한, 재범률이 증가하고 있으며 학생에 의한 범죄가 차지하는 비율도 계속 증가추세에 있다. 소년범죄의 원인은 개인, 가정, 학교, 또래등 사회환경요인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다. 때문에 소년범죄의 예방과 해결책은 단일요인이 아닌 다양하고 복잡한 요인들이다. 이에 어떠한 환경에서도 극복할 수 있도록 개인의 역량강화등 통합적 교정복지적 실천 개입이 필요하다.
더불어 소년처분에 있어서도 소년원 송치 처우인 9호, 10호 처분이 증가하고 있다. 향후 사법적 기능보다 복지적 기능이 강조되어야 하며 소년범들의 욕구와 특성에 맞는 민간위탁시설의 정책적 지원과 민관협력시스템을 통한 교정복지적 실천개입이 요구된다.
영문 초록
This study is to diagnose juvenile crime situation and juvenile protective disposition and prevent early juvenile delinquency and to present method for practice.
In order to accomplish an aim efficiently, first, understanding the field of juvenile delinquency and the system accurately should be necessary. In fact, the rate of juvenile delinquency of whole crime has increased and is on trend of a younger age group. Juvenile delinquency is affected by socio-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person, home, and school. Not the only factors but various factors are connected. In addition, intervention of correctional welfare practices is demanded through political support of social welfare facilities by juvenile offenders' needs and characteristics and public-private partnership system.
목차
[국문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실태분석
Ⅳ. 문제점 및 개선방안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