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stimating the Employment Effect of the 4th Tourism Development Plan on Gyeonggi-do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김흥식 박구원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22권 제1호, 461~486쪽, 전체 2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5.30

국문 초록
한국에서는 1997년 IMF 외환위기 이래 산업의 고용 및 질이 크게 악화되고 있어, 부가가치와 고용창출효과가 큰 관광산업과 같은 서비스산업을 새로운 성장동력으로 삼아, 저성장 시대의 위기를 극복해야할 필요성이 그 어느 때보다 절실한 상황이다. 특히 새로운 일자리 창출은 국가는 물론 자치단체의 새로운 과제로 자리잡고 있어, 관광산업의 고용효과는 관광산업의 유형과 수요ㆍ공급의 측면에서 보다 명확히 파악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인식을 토대로, 관광산업의 유형을 재정의 하여, 관광산업별 고용실태와 고용수급실태를 경기도를 사례로 실증 분석한 것에 있다. 연구는 제4차 경기도 권역 관광개발계획(2007-2011)의 경제효과를 최적화하는 수요공급분석을 사용했다. 분석결과, 지난 10년간 관광종사자수는 162만명에서 250만명으로 54% 증가하여 전체 산업 증가분의 34%를 점하는 것으로 나타나, 관광산업이 전체 산업의 신규고용증가를 주도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재 추진 중인 제4차 경기도 권역 관광개발사업에 따른 고용창출효과는 118,669명으로 나타났고, 이중 3개 유형별 관광산업의 고용창출효과는 전체 고용창출효과의 31.4%를 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유형별로는 Type 1 관광산업> Type 3 관광산업>, Type 2 관광산업 순으로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재원별로는 공공부분 투자사업보다 민간부분의 투자사업에 따른 고용효과가 높게 나타나, 민간 투자유치가 관광 고용창출정책의 성패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이러한 관광 고용창출효과를 관광전문인력에 대한 수급분석과 연계해 분석해 본 결과, 관광부문에서는 2년제 대학 인원 크게 증가하고 있는 반면, 4년제 대학 인원이 정체하고 있고, 주로 현장과 밀착한 교육이 이루어지지 못함으로써, 관광전문인력은 크게 부족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러한 인력수급 측면에서의 불일치를 해소하고, 융합화ㆍ전문화되고 있는 관광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대학 커리큘럼 등이 혁신이 필요한 실정이다.
영문 초록
Since the IMF financial crisis in 1997, our economy has largely deteriorated new job-generating capacity as well as the quality of job. In particular, a recent unemployment rate of the young has raised serious social issues. Recent employment policies are converted into the tourism sector as new growth dynamics to generate new jobs. While the economic impact of tourism is well documented on a comprehensive point of view, little academic attention has been paid to the specific employment impact of the tourism infrastructure projects. However, industry statistics indicate that tourism industry has enormous economic significance as new growth dynamics in the point of employment as well as value-added. The study uses the input-output analysis to estimate the economic impacts of the 4th Tourism Development Plan(2007-2011) on Gyeonggi-do. It found evidence that tourism infrastructure projects may be solving serious unemployment problems by generating new jobs. Tourism developmental projects in Gyeonggi Province may generate various classes of spillover effects, especially in employment side. At a broader sectoral level, tourism-centric development policies are reasoned to be of value in achieving strong new creating jobs. If private investments are fully induced to the projects, there will occur the excess demand for tourism professional manpower. Accordingly, by consideration of unemployment problem, it is argued that policy should be directed to induce more coordinated strategic private investments as well as provide tailor-made education programs in colleges and universities to offset a mismatch between the demand for tourism professional and the supply of tourism professional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지역관광산업의 분류
Ⅲ. 관광산업별 고용실태와 추이 분석
Ⅳ. 관광개발사업에 따른 고용창출효과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