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n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of Korean Food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조문수 고승익 오상운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22권 제1호, 265~287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5.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음식점을 이용한 외국인들과 한국인들의 한국음식 평가 중요도와 만족도를 비교분석함으로써 한국음식의 세계화에 기여하는데 있다. 표본의 크기를 살펴보면 외국인의 경우 303명, 한국인의 경우 653명이며 외국인의 경우는 인천ㆍ부산ㆍ제주국제공항에서 설문이 실시되었다. 집단을 한국인과 외국인으로 분류하여 한국음식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IPA)을 실시한 결과 외국인의 경우 모든 속성이 Ⅲ, Ⅳ사분면에 위치하여 한국음식의 만족도가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한국인의 경우 음식의 질, 지명도, 음식의 모양, 음식의 가격 속성에서 높은 중요도에 비해 낮은 만족도를 형성하였다.
외국인을 일본어권, 중국어권, 서구권으로 분류하여 한국음식에 대한 중요도-만족도 분석(IPA)을 실시한 결과 서구권의 경우 모든 속성이 , Ⅳ사분면에 위치하여 한국음식의 만족도가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본어권의 경우에는 음식의 질, 식재료, 음식의 모양이 Ⅱ사 분면에 속하고, 중국어권의 경우에는 식재료, 조리법, 음식의 가격이 Ⅱ사분면에 속해 있어 이들 속성에 대한 개선 노력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되었다. 본 연구 결과 외국인 방문객들의 한국음식에 대한 만족도가 한국인에 비해 높으며 계속적인 한국음식의 개발을 통해 만족도가 계속적으로 증가할 것임을 예상할 수 있었다. 그러므로 한국음식점은 각 음식점의 표적시장에 맞는 품질세분화전략이 필요할 것이며, 본 연구의 결과를 전략수립에 활용하여 고객의 만족도를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한국음식점은 더 높은 수준의 서비스 제공과 전통음식에 대한 개발 노력을 지속해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customer satisfaction and visitor by country of origin using IPA. A questionnaire was distributed to 956 respondents, 653 of whom were Korean at three international airports: Incheon, Busan and Jeju, Korea. The returned surveys were analyzed using IPA, with four quadrants: Quadrant I: Keep Up the Good Work, Quadrant Ⅱ: Possible Overkill, Quadrant Ⅲ: Low Priority, and Quadrant Ⅳ: Concentrate Here. Eight aspects were identified concerning Korean food: quality, quantity, presentation, price, manner of cooking, ingredients, traditional value and brand value. The results indicate that Koreans and Japanese are less satisfied with quality, quantity, presentation, manner of cooking, ingredients, traditional value and brand value. Chinese are less satisfied with quality, quantity, price, cuisine, and ingredients. Westerners are satisfied with all aspects. The findings indicate that Westerners were more satisfied with Korean food than Koreans, Japanese, or Chinese. Consequently, Korean restaurants should implement quality segment strategies that focus on target markets. The application of this study in strategic planning will contribute to the improved satisfaction of customer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고찰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