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Effects of Brand Identification on Brand Loyalty in Hotel Customer -The Moderating Role of Sensation Seeking Traits-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한경희 최우성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22권 제1호, 221~245쪽, 전체 25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7.05.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호텔브랜드 동일시가 브랜드충성도에 미치는 영향, 브랜드 충성도에 있어 태도적 충성도와 행동적 충성도의 영향관계, 태도적 충성도와 행동적 충성도의 관계를 조절하는 변수로 감각추구성향(SST)의 조절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분석결과 브랜드 동일시가 높을수록 태도적 충성도가 높아져 그 브랜드에 대한 애착과 친밀감을 가지게 될 뿐만 아니라 행동적 충성도도 증가하여 그 브랜드를 재구매 할 가능성 및 계속해서 구매할 가능성이 높아지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태도적 충성도와 행동적 충성도의 관계에 있어서 SST의 조절 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하지만, 다양한 브랜드 선택권을 가지게 된 국내 호텔 고객들의 현실을 감안할 때, 호텔의 수익과 관련되는 브랜드 충성도와 고객들의 감각추구성향에 대한 관련성에 대한 가능성을 제시한다.
영문 초록
The hotel industry, one of the hospitality industry, has regarded the Brand Strategy to act against the competible market environmen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refer to documents and examine the influences on Attitude and Behavior Loyalty by Personal and Social Brand Identification, an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with the Sensation Seeking Traits (SST) as the moderating variable. The results of the verified hypothesis say that as Brand Identification is higher, Attitude Loyalty becomes higher and this results to attachment and intimacy towards the Brand and also the possibility to re-purchase and even to continuous purchase. But, SST could not moderate the relation to Behavior Loyalty and Attitude Loyalty. But, the consideration that many domestic hotel customers have the option to many diverse Brand, presents the possibility of relation between Brand Loyalty and the customer s Sensation Seeking Traits(SST) related to hotel s benefit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설계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