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eo Sawon's Simhak and civilian army activity
- 발행기관
- 한국동양철학회
- 저자명
- 추제협(Choo Je hyeop)
- 간행물 정보
- 『동양철학』東洋哲學 第44輯, 471~490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인문학 > 철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국문 초록
이 글은 한강학파의 또 다른 구심점으로 대구가 부상하는 데 주도적인 역할을 했던 서사원의 사상적 특징과 의병활동에 대해 살펴본 것이다. 서사원은 경공부를 통한 본원의 함양을 중요시함은 물론 인욕이 생기더라도 중용의 도를 통해 올바름을 얻을 수 있다고 보았다. 다만 그는 이러한 마음공부가 단순히 내면적 침잠으로만 일관하기보다는 현실에 나아가 그 옳고 그름에 따라 적극적으로 행동할 때 마음공부의 완성이 이루어질 수 있다고 믿었다. 그런 점에서 임진왜란 당시 그가 보여준 의병활동은 이러한 현실에 대한 실천적 태도를 보여준 것이라 하겠다. 즉 그는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우리가 배운 학문의 근원이 결국 실천에 있음을 강조하여 지금이야 말로 맹자가 말한 충신과 의사가 될 수 있다며 현실 참여를 독려했다. 그 자신 또한 팔공산에서 여러 지우들과 제1공산의전을 구성하고 낙동강을 건너오는 왜적을 저지하는 등 몸소 실천적 자세를 보여주었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about the feature of thought and civilian army activity in Seo Sawon. Seo Sawon thought it is important for the origin of heart through Gyeonggongbu. And he want to avoid greed and to have Golden means. Through this we can get the truth. However, mind studying should reflect reality. Therefore, his civilian army activity represents the practical attitude of the reality at Japanese Invasion of Korean in 1592. He Stressed that the basis of the study is to practice, and we can be good servants and soldiers in Mencius. To him, actual participation was more important than ever. He also defeated the enemy with his friend.
목차
【논문 요약】
1. 들어가는 말
2. 심학
3. 의병활동
4. 나오는 말
참고문헌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