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Commensal Developmental Connection Plans between Real Estate Studies and Locality Development Studies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학회
- 저자명
- 김재환(Kim, Jae Hwan)
- 간행물 정보
- 『부동산학보』不動産學報 第63輯, 202~216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18

국문 초록
본 연구는 부동산학과 지역사회개발학의 학문적 배경과 유사점, 차이점들을 분석한 후 이들 두 학문이 추구하는 학문적 범위와 성향으로부터 학문 간 연계를 통한 실무적 범위 내에서 그 논의와 함께 현행 NCS 직무체계를 분석하였다. 이의 내용으로 학문적 성격과 NCS체계의 각 세 분류의 능력단위, 그리고 사회현상을 보는 관점과 현 정부의 정책과제 등으로 분류하여 공통성과 차별성으로 부터 공생적 발전방안을 제시하였다.
영문 초록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The purposes of this study were to analyz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in the academic backgrounds between real estate studies and locality development studies and search for ways to make developmental connections within the current job scope of NCS from the scopes and tendencies of the two fields.
(2) RESEARCH METHOD
The study compared the jobs of the two fields in an exploratory fashion to analyze the academic backgrounds and consider realistic alternatives.
(3) RESEARCH FINDING
The developmental connection plans were identified as follows that it is needed to review again the policy directions within the scope of no overlaps among the similar policy tasks of each department in the current government policy tasks.
2. RESULTS
The present study reviewed the names, definitions, elements, and performance criteria of NCS system by the ability units as well as academic nature to figure out commonal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the two fields and proposed connection plans based on their perspectives of social phenomena and the current government policy
tasks.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Ⅱ. 이론적 고찰
1. 부동산학의 학문적 배경과 성격
2. 지역사회개발학의 학문적 배경과
성격
Ⅲ. 두 학문의 특성별 직무
1. 두 학문의 NCS 내용
2. 부동산분야와 지역사회개발분야의
NCS 현황
Ⅳ. 두 학문의 공생적 발전방안
1. 두 학문의 공통성과 차별성
2. 공생적 발전방안
Ⅴ.결 론
1. 연구결과의 요약
2. 연구의 한계 및 향후과제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