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valuation of Residential Environment Cognition on Urban-Type Housing by Space Types- Focused on Urban-Type Housing in Busan -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학회
- 저자명
- 김상섭 최열 이고은
- 간행물 정보
- 『부동산학보』不動産學報 第63輯, 104~118쪽, 전체 15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18

국문 초록
1인 가구의 증가에 따른 도시형 생활주택의 증가가 전망되는 가운데 본 연구는 부산광역시를 대상으로 공간적 분포 및 인식에 관하여 분석하고자 한다. 우선, 공간적 분포 특성은 공간적 자기상관성 분석을 통하여 실시하였다. 부산광역시의 214개 전 행정동을 대상으로 전역적 측면과 국지적 측면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공간적 자기상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리고 도시형 생활주택 거주자의 거주환경에 대한 주관적 인식을 분석하기 위하여 IPA를 실시하였다. 거주환경을 주택 특성, 주택외부 특성, 입지 특성으로 분류하고, 각 특성의 중요도와 만족도에 대한 인식을 평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 주택 특성에서 중요도와 만족도가 높은 요소는 비교적 세부적인 시설들인 것으로 나타났고, 주택외부 특성에서는 소음과 공기질이 중요도는 높아나 만족도가 낮은 요소로 나타났으며,
입지 특성에서는 방범시설과 직장과의 거리가 높은 중요도와 만족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영문 초록
1. CONTENTS
(1) RESEARCH OBJECTIVES
According to the press release from the Statistics Korea, the population of South Korea will decline after 2030 in which it will reach its peak, while the number of single-person households will be the largest in every city and province do. As it is expected that this predominance will bring an increase in urban-type housing, this
study was oriented in the city of Busan, whose population is the second largest next to that of the metropolitan area around Seoul.
(2) RESEARCH METHOD
A spatial autocorrelation analysis was conducted to show the current situations and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urban-type housing. Then, using the IPA(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technique, another analysis was performed to examine urban-type housing residents' practical awareness of various residence-related factors.
(3) RESEARCH FINDINGS
Local Mapping the estimated Local Moran's I statistic into a LISA cluster map revealed that HH, LL, and LH types gained significance. When it comes to housing characteristics, the people regarded specific installations as relatively important and satisfactory. In terms of neigborhood characteristics, noise was the most important
while clean air had high importance but comparatively low satisfaction. As to locational characteristics, the residents considered mobility the most important factor.
2. RESULTS
Residents of urban life in the house can be called Residential stabilizing layer should be above all the most important as relatively low income. Thus the national or local level by providing a variety of criteria need to look for ways to improve their housing satisfaction.
목차
Ⅰ. 서 론
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3. 선행연구의 검토
Ⅱ. 도시형 생활주택의 제도와 공간적 분포 특성
1. 도시형 생활주택의 제도 고찰
2. 도시형 생활주택의 공간적 분포 특성
Ⅲ. 연구설계
1. 설문개요 및 데이터 분석 방법
2. 변수의 구성 및 기초통계량 분석
Ⅳ. 실증분석
1. 주택 특성에 관한 분석
2. 주택외부 특성에 관한 분석
3. 입지 특성에 관한 분석
Ⅴ. 결 론
<참고문헌>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