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발행기관
- 한국부동산학회
- 저자명
- Repkine, Alexandre(알렉산드레 래프킨) Song, Seung-Hoon(송승훈)
- 간행물 정보
- 『부동산학보』不動産學報 第63輯, 5~17쪽, 전체 13쪽
- 주제분류
- 경제경영 > 경제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18

국문 초록
1. 내 용
(1) 연구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러시아 블라디보스톡의 지리적인 위치의 효과를 고려한 아파트의 상대적인 특성을 탐색하기 위함이다. 첫째로, 아파트의 가격은 이웃 아파트의 평균 가격에 영향을 받는 다는 것이고, 둘째로, 아파트 지역이나 혹은 가장 가까운 철도역까지의 거리와 같은 질적인 특성을 나타내는 관찰할 수 없는 공간적인 특성을 분리하였다는 것이다.
(2) 연구방법
모델은 아파트의 다면적 특성에 대한 헤도닉 가격모형을 설정하였다. 헤도닉 가격설정 모형에 공간가중구성(spatial weight matrix)을 포함함에 의하여 이웃 아파트의 평균 가격의 영향을 모델에 설정하였다. 또한 공간가중구성(spatial weight matrix)의 함수로 관찰 할 수 없는 이질성(heterogeneity)을 고려하여 관찰 할 수 없는 공간효과를 모델 설정하였다. 샘플의 크기는 블라디보스톡의 729개 아파트를 실증분석하였고, 모델의 추정방법은 R을 활용 하였다.
(3) 연구결과
연구 분석 결과 샘플에서 통계적으로 매우 유의한 공간 이질성 효과의 존재가 증명되었으며, 이는 분석에서 공간회귀방법(spatial regression methods)의 적용을 보장하는 것이었다. 연구결과는 3개의 가장 근접한 이웃을 고려한 방법이나, 혹은 지리적인 거리나 개인적인 특성의 효과의 크기나 공간모델의 선택에 근거한 방법은 동일하다는 관점에서, 공간가중구성(spatial weights matrix)을 선택함으로써 견고(robust)한 연구결과를 나타내었다.
2. 결과
실증분석의 결과는 아파트 위치의 관측 되지 않는 특징들이 차지하는 역할이 아파트의 평균 가격이나 질적인 특성의 영향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큰 것으로 나타났다. 아파트의 지역은 아파트 가격을 결정하는데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반면, 주방 크기의 추가적인 확장이 거실 크기의 확장보다 50%이상의 효과를 나타내었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we look at the effects spatial heterogeneity produces on the apartment price variation in Vladivostok, an important city in the Russian Far East. Along with the traditional apartment attributes such as living area, we also consider the kitchen area, which appears to be more important in Russia. We report estimates based on six specifications of the spatial lag and error models, and the spatial weights based
on the geographical distance or the k nearest neighbors. Our estimates imply that our data sample is most adequately described by the spatial error model, suggesting that any apartment’s price is largely a function of the unobserved characteristics of the neighboring apartments rather than its own attributes. However, our results leave open a possibility of the Vladivostok apartments’ prices being a function of geographical
location alone.
목차
Ⅰ. Introduction
Ⅱ. Data
Ⅲ. Theoretical Framework
Ⅳ. Empirical Results
Ⅴ. Conclusions
<국문초록>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