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고등학교 성적표 자동 산출 프로그램 TELL(Track Educational Location and Learning direction) 개발
이용수 227
- 영문명
- Developing Report Card Management Program for High School
- 발행기관
- 한국교육평가학회
- 저자명
- 김희경(Heekyoung Kim) 김건섭(Keonseob Kim) 곽현석(Hyunseok Kwak) 김경성(Kyung-sung Kim)
- 간행물 정보
- 『교육평가연구』제28권 제4호, 1153~1175쪽, 전체 23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교육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01
국문 초록
앞으로 미래사회에서는 지식 전달 위주의 수동적인 교육 방법과 달리 학생들이 자발적으로 교육에 참여하여 즐겁게 공부하고 스스로 미래를 설계할 수 있도록 돕는 교육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 개개인 에게 맞는 맞춤형 교육이 필요하며 교육평가 측면에서는 중간․기말고사 후 학생들에게 단순한 점수와 등급, 등수만을 제시하는 전통적인 성적표에서 벗어나야 한다. 현행의 성적표에는 과목별 총점만 제공하고 있기 때문에 학생들이 자신의 강약점을 파악하기 어렵다. 또한 학생의 학습상의 특성에 대해 교사의 서술식 피드백을 구체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고등학교에서 중간․기말고사 후 과목별 구체적인 학습요소별 성취도를 제시하여 학생 맞춤형 평가 정보를 제공하는 고등학교 성적표를 자동적으로 산출해주는 프로그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현재 학교현장에서 성적 관리는 나이스를 기반으로 하고 있으므로 별도의 네트워크 없이 나이스 출력 자료와 프로그램만 가지고 성적표를 산출하는 방향으로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또한 성취기준-학습요소 맵핑 구조를 개발하여 학생의 평가결과에 대한 정보를 구체적 성취기준 또는 학습요소에 기반하여 제공할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의 명칭은 ‘고등학교 성적표 산출 프로그램’으로서 영문으로는 Track Educational Location & Learning direction이고 약자로 TELL이라 하였다.
영문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introduce a practical high school report card system that provides customized rating information to students, the ways in which it provide achievement levels in each specific academic elements after each term exams at Korean high schools.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The new report card management system is designed to use the students’ academic data and two-specification tables directly from the NEIS system, which aimed to ease teachers’ workload. The purposes of developing this program is (1) to provide report cards of term exams that indicate each individual student’s achievement level on specific learning elements and the units they learned, (2) and to provide each students’ achievement level on the specific learning elements in a graphic form, which aids to increase understanding the information and its usage. This program reads the answer sheet and two-specification table files that are downloaded from the NEIS
system, combine these information to analys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detail, and create report card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목차
Ⅰ. 들어가기
Ⅱ. 학습을 위한 평가로의 패러다임 변화
Ⅲ. 평가결과표 사례
Ⅳ. TELL 프로그램 개관
Ⅴ. TELL 프로그램 개발
Ⅵ. 결론 및 논의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