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Water Quality Prediction Model over Midterm Considering Correlation between Water Quality and Hyrologic Factor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미은(Kim Mi eun) 김재문(Kim Jae moon) 예성제(Ye Sung jae) 박재범(Park Jae beom) 윤미연(Yun Mi yeon) 신현석(Shin Hyun suk)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5권6호, 459~470쪽, 전체 12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국문 초록
유역 내에서 발생하는 유출 및 수질자료는 비선형성이 강한 자료의 특성을 보인다. 유역 내에서 발생되는 강우에 의한 유출과 수질인자 간의 상관성 분석을 통한 수질예측 연구는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는 낙동강유역 하류부에 위치해 있는 낙본K를 대상지역으로 선정하여 수질예측 모형을 적용하였다. 환경부에서 관측하고 있는 수질 측정자료의 다양한 인자 및 수문인자의 비선형적인 상관성을 고려하여 역전파알고리즘 기반의 인공신경망 수질예측모형을 구축하였다. 다양한 수질 및 수문인자 간의 정성적 분석을 통하여 각 수질요소별로 예측모형을 구축하였다. 구축된 모형은 예측치가 실측치에 근사한 결과를 보였으며 기존의 인공신경망 모형에 비하여 예측의 정확도가 향상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Runoff and water quality factors generated from the watershed show strong nonlinear characteristics on their interrelationship. A study of prediction of water quality might be essential with correlation analysis among hydrologic and water quality factors affected by inflow in a watershed. The study selected Nakbon K located in downstream of Nakdong River. A prediction model of water quality based on back propagation algorithm considered nonlinear correlation between water quality observed under Ministry of Environment and hydrologic factors. The established models through qualitative analysis among the various factors showed good results between observed and simulated values. The model could be seen from previous models and improved the prediction accuracy comparing with the previous models.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인공신경망의 이론
3. 연구대상지역 및 연구방법
4. 결과
5.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