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Evaluation of Rainfall Intermittency on the Simple Kriging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노용훈(Ro Yong hun) 유철상(Yoo Chul sang)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5권6호, 383~393쪽, 전체 11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정량적 강우장을 추정하는데 있어, 강우 자료의 간헐성이 단순크리깅 예측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이를 위해 먼저 ‘0’의 비율이 다른 세 가지 모의자료를 분석하고 비교하였다. 특히, 각 자료의 베리오그램을 유도하고 ‘0’의 비율이 베리오그램의 형태에 미치는 영향을 평가하였다. 또한 유도된 3개의 베리오그램을 각 자료에 모두 적용하여 ‘0’의 영향이 단순크리깅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비슬산 레이더 강우 자료를 이용하여 위 과정을 반복하고 그 결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째, 자료에 포함된 ‘0’의 비율이 클수록 베리오그램의 상관거리가 증가하고 문턱값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 째, 모의자료를 이용한 분석에서는 원자료에서 유도한 베리오그램을 적용할 때 단순크리깅 결과가 우수하게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 째, 레이더 강우 자료를 이용한 분석에서도 동일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영문 초록
This study evaluated the effect of rainfall intermittency on the quantitative estimation of rainfall field by the simple Kriging method. For this purpose, this study analyzed and compared the three different data fields generated with different ratios of zero values. The variogram for each data field was also derived to evaluate the effect of the ratio of zero values on the shape of variogram. All three variograms have also been applied to each data field, whose simple Kriging application result was then analyzed and compared. Finally, above procedure was repeated with the real radar data from the Bislsan Radar. Summarizing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data field with larger ratio of zero values, the correlation lengh of variogram increases but the threshold value decreases. Second, the use of the corresponding variogram to the data produces the most similar pattern of interpolated data field by simple Kriging to the original data. Finally, the same result could also be confirmed from the application to the real radar data field.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배경이론
3. 적용사례
4.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