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n Empirical Model for Combustible Supplies in Intelligent Building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채승언(Chae Seung Un) 권오상(Kwon Oh Sang) 김흥열(Kim Heung Youl)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5권6호, 285~291쪽, 전체 7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오픈 공간의 인텔리전트 빌딩을 대상으로 구획공간에서의 화재 성상 및 온도 변화 분석을 하였다. 화재실험은 3(L)×3.2(W)×2.5(H) m 크기의 사무실 공간을 Mock-up 제작하여 실제 사무실 화재하중을 배치하여 수행하였다. 사무실 구획공간 내부의 가연물들은 사무용 가구 및 컴퓨터와 바닥에는 악세스 플로어(Access floor)를 설치하였으며 화재실험의 화재하중은 35.375kg/㎡이 적용되었다. Mock-up 실험체에는 두 개의 열전대 트리가 각각 설치되었으며 구획공간 내의 온도를 측정하였다. 본 실험의 데이터는 화재 시뮬레이션, 화재 위험 평가 및 화재방지설계 등에 활용될 수 있다. 본 실물화재실험에서의 온도변화 곡선은 실험 시작 후 약 13분경에 구획공간 바닥재로 화재가 확대되었다. 구획공간 내의 화재확산과 플래시오버 등의 예측을 위한 BFD 곡선, 실험 온도 곡선 등의 입증을 위한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real fire tests have been performed for the fire behavior and temperature analysis of the compartment. The size of Mockup experiments were 3 m length, 3.2 m wide, 2.5 m height m. The BFD curve method of C.R. Barnett is adopted to study a empirical model for fire compartment temperatures. The fire load was 35.375 kg/㎡ with office combustible supplies including access floors. The temperatures in the Mock-up compartment were measured using two different locations of thermocouple trees. These conclusions and experiment data obtained in this paper could be helpful in reference for the fire simulation, fire hazard assessment and fire protection design (including PBD). Based on experimental data, BFD curve and mathematical models need to be discussed to predict temperature curve in flashover and fire spread in the compartment. Also, this empirical model study needs more test to verify and optimize.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실험 목적 및 방법
3. 구획공간 실물화재 실험
4. BFD 커브를 이용한 온도곡선 커브
5.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