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Fundamental Study on Wi-Fi Based Communication Methods for Enclosed Spaces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김영덕(Kim Young Duk) 권순(Kwon Soon) 김형준(Kim Hyung Jun) 박지원(Park Ji Won)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5권6호, 237~24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국문 초록
최근 정보통신기술의 발달로 이를 기반으로 한 각종 로봇 시스템 및 특수 장비들이 소방관을 대신하여 화재, 재난 현장에 투입되고 활용되고 있다. 그러나 이들 장비들이 무선통신기법을 이용하여 원격에서 조종될 경우, 건물내 각종 장애물에 의해 통신의 성능이 급격히 저하되거나 단절되는 문제가 있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밀폐공간 구조를 중심으로 통신의 단절현상을 실제 무선 장비를 이용하여 실측하고 원인을 분석하였다. 또한 대표적인 화재 취약지역인 밀집된 사무실 및 고시원공간을 중심으로 무선통신기반의 장비를 투입할 경우, 원활한 통신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실제 현장투입용 로봇 및 장비에 적용한다면 통신시스템의 오류율을 크게 줄일 수 있으며, 탐색 및 구조 활동의 능률향상에도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한다.
영문 초록
Recently, thanks to advances in ICT(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a large number of robot systems and specialized equipments are deployed in order to substitute for fire fighters in fire and disaster sites. However, when these unmaned devices are controlled by wireless remote controllers at the remote site, they may suffer from significant performance degradations such as interference, signal collision and fading due to unexpected indoor obstacles. In this paper, the extended measurements and analyses of wireless communication failures are conducted by using commercial wireless devices. All experiments are performed in confined and enclosed spaces such as office and dormitory which is consisted of a number of densely populated small rooms. Finally, the appropriate solutions for such enclosed spaces are proposed especially when wireless devices are deployed. We expect that the proposed communication scenarios can improve the search and rescue performance in real disaster sites.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실험 내용
3. 밀폐공간내 통신 방안
4.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