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wo-dimensional Numerical Analysis for Debris Flows at Jecheon
- 발행기관
- 한국방재학회
- 저자명
- 전병희(Jun Byong hee)
- 간행물 정보
- 『2. 한국방재학회 논문집』15권6호, 207~212쪽, 전체 6쪽
- 주제분류
- 공학 > 기타공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5.12.30

국문 초록
본 연구에서는 지상 LiDAR(Light Detection And Ranging)를 집중강우에 의해 발생한 토석류에 의한 침식과 퇴적작용 등의 지형변화를 조사하였다. 연구대상으로서는 충북 제천에서의 2009년 7월 9일부터 14일 사이의 집중호우와 그에 따른 토석류 발생지역으로 하였다. 이 기간에 세차례의 강우사상이 있었으며 최대 시간강우는 64 mm/h, 일강우는 201 mm/d였다. 지상 LiDAR를 이용하여 토석류 발생 후의 지형변화를 분석할 수 있었다. 또한 지상LiDAR 결과를 이용하여 생성된 DEM은 침식과 퇴적 등의 지형변화를 매우 세밀하게 보여주었다. 조사결과 토석류에 의한 침식량은 32,847㎥였고, 퇴적량은 22,889 ㎥였다. 이 조사자료를 이용하여 토석류 2차원 모형해석 결과를 비교, 분석하였다. 그 결과 계산시간 250초에서 계산된 침식, 퇴적 면적이 실제 면적과 65%로 일치하였다. 또한 퇴적량에서는 350초에서 97% 이상 일치하였다.
영문 초록
In this study, the topographical changes associated with erosion and deposition by intensive rainfall and the consequential debris flow were evaluated using terrestrial LiDAR (Light Detection And Ranging). The intensive rainfall over 400 mm occurred between on 9 to 14 July 2009 triggered debris flows around the mountain area in Jecheon County. Three major rainfall events occurred in six days with a short interval and the sequence of debris flow events in the study area started on 14 July 2009 during the third rainfall peak which scored the maximum rainfall intensity of 64 mm/h and 201 mm/d. The LiDAR data allowed comprehensive investigation of the morphological features present along the sliding surface and in the deposit areas. The DEM derived from the LiDAR enabled the debris flow to be mapped and analyzed in great detail. The erosion/deposition volume were estimated to 32,847 ㎥and 22,889 ㎥, respectively. The flooding area and erosion/deposition volumes by debris flow were compared with numerical simulation results. The simulation results had sufficiently good agreement with the debris flow track, and a success rate of 65% in affected area was achieved with a simulation time of 250 s. A comparison of the simulated and surveyed results based on deposition volume yields a success rate of over 97% with 350 s of simulation time.
목차
Abstract
요지
1. 서론
2. 연구 방법
3. 결과 및 토의
4. 결론
감사의 글
References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