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pacts of Leisure Activity on Attitude of Wellbeing, Orienting Behavior of Wellbeing, and the Seeking Tendency of Wellness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오길창 이기종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24권 제1호, 205~22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04.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조사대상은 서울을 4개 지역(강남지역, 강동지역, 강북지역, 강서지역)으로 나누어 한 지역에서 남녀 5대 5의 비율로 무작위로 추출 하였으며, 설문지는 총 400부의 설문지를 배부하여 380부를 회수하였으며, 이중에서 부분적인 무응답 설문지와 응답이 불성실한 33부를 제외한 총 347부를 최종분석 활용하여 분석된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여가활동은 Wellbeing 태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가활동은 Wellbeing 지향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가활동은 Wellness 추구성향인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지적, 정신적인 Wellness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Wellbeing 태도는 Wellbeing 지향행동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Wellbeing 태도는 Wellness 추구성향인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지적, 정신적 Wellness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Wellbeing 지향행동은 Wellness 추구성향인 신체적, 사회적, 정서적, 지적, 정신적 Wellness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전체적인 영향은 여가활동이 Wellbeing 태도에 미치는 영향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Wellbeing 태도가 Wellness 추구성향에 미치는 영향, Wellbeing 태도가 Wellbeing 지향행동에 미치는 영향, 여가활동이 Wellness 추구성향에 미치는 영향, 여가활동이 Wellbeing 지향행동에 미치는 영향, Wellbeing 지향행동이 Wellness 추구성향에 미치는 영향 순으로 영향력의 우선순위가 나타났다.
영문 초록
The study was to identify the impacts of leisure activity on attitude of wellbeing, orienting behavior of wellbeing, and the seeking tendency of wellness. A total of 347 questionaries were analysed among 400 samples except for no answers or incomplete o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leisure activity turned out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attitude of wellbeing. Second, leisure activity had a positive influence on orienting behavior of wellbeing. Third, leisure activity proved to have a positive impact on seeking tendency of wellness-physical which is social, emotional, intellectual, and spiritual wellness. Fourth, attitude of wellbeing had a positive effect on orienting behavior of wellbeing. Fifth, attitude of wellbeing had a positive effect on seeking tendency of wellness. Sixth, orienting behavior had a positive effect on seeking tendency of wellness. Seventh, the influence of leisure activity on seeking tendency of wellness was the strongest and the next order proved to be the influence of attitude of wellbeing on seeking tendency of wellness, the influence of leisure on orienting of wellbeing, and the effect of orienting of wellbeing behavior on seeking tendency of wellnes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조사설계
Ⅳ. 분석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