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
A Study on the Correlations between Hotel Employees' Superior Trust, Organizational Trust, Group Cohesiveness,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이용수 44
- 영문명
- 호텔종사원의 상사신뢰, 조직신뢰, 집단응집력, 조직몰입의 영향관계 검증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Jeon Hee-Won(전희원)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24권 제4호, 255~283쪽, 전체 29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0.30

국문 초록
본 연구는 호텔업체의 경영성과 향상을 위한 인적자원 관리상의 시사점을 얻기 위하여 선행연구를 참조하여 호텔기업 종사원의 조직에 대한 신뢰가 집단응집력에 미치는 영향, 호텔종사원의 상사신뢰, 조직신뢰가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 호텔 종사원의 집단응집력이 조직몰입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분석해 보았다. 첫째, 조직신뢰는 집단응집력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가설은 지지되었다. 호텔경영자들 및 관리자들은 보수, 인사 등 여러 가지 측면에서 유의하여 호텔종사원들이 신뢰 할 수 있도록 조직운영을 하여야 효과적인 조직운영이 될 것 이다. 둘째, 상사신뢰는 조직몰입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가설은 지지되었다. 셋째, 조직신뢰는 조직몰입에 매우 높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가설은 지지되었다. 호텔경영자 및 관리자들은 호텔종사들이 신뢰 할 수 있도록 업무와 관련이 있는 것은 물론 사적인 영역에서라도 호텔 종사원들이 상사나 조직을 신뢰 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여야 할 것이다. 넷째, 집단응집력 조직몰입에 매우 높은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가설은 지지되었다. 호텔조직의 성과를 위해서 호텔 경영자 및 관리자들은 종사원들이 최대한 강한 집단응집력을 가질 수 있도록 다각적인 차원에서 노력 하여야 할 것이다.
영문 초록
This study has positively analyzed the effect of hotel employees' organizational trust on group cohesiveness, the effect of their superior and organizational trust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and the effect of their group cohesiveness on organizational commitment with reference to advanced researches in order to gain implications for improving hotel management performance in regard of human resources management.
First, it was shown that organizational trust affected group cohesiveness positively. It is thought that for effective organizational management, hoteliers or hotel managers have to consider pay or personnel administration in multilateral aspects so that the organizational management can make employees have trust in them. Second, superior trust influenced organizational commitment positively; thus, the hypothesis was supported. Third, organizational trust had an extremely positive effect upon organizational commitment; therefore, the hypothesis was proved to be true. hoteliers or hotel managers should do their best to make hotel employees have trust in their superior or organization in private areas as well as parts related with work. Fourth, it was found that group cohesiveness affected organizational commitment fairly positively; thus, the hypothesis was supported. In order to achieve high performance in hotel organizations, hoteliers or hotel managers need to make efforts in various ways so as to help hotel employees exhibit group cohesiveness as strongly as possible.
목차
Abstract
Ⅰ. Introduction
Ⅱ. Methodology
Ⅲ. Results
Ⅳ. Discussion
Ⅴ. Conclusion
References
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