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북미 여가학의 발전에 대한 연구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Shim Jae-Myung(심재명)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24권 제4호, 195~216쪽, 전체 22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09.10.30
국문 초록
본 논문은 북미지역 여가학의 다양한 측면들에 대해 살펴봄으로써 우리나라 여가연구에 시사점을 찾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여가학의 발전에 공헌한 저명한 학자들로 이루어진 Academy of Leisure Science라는 비영리 단체의 구성원들에게 북미지역 여가 연구와 관련된 여덟 개의 개방형 질문을 통해, 북미 여가연구의 여러 측면들과 예측되는 여가학의 미래에 대해 조사하였다. 북미지역은 여가연구가 처음 시작되었고 가장 활발하게 이루어져온 지역으로서 우리나라의 여가연구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조사에 참여한 북미지역의 32명의 저명한 여가학자들의 지식과 경험은 우리나라의 여가 연구자들에게도 의미 있는 메시지를 준다고 생각된다. 가령, 다른 사회과학분야와 학제적 협력과 중요한 사회적 이슈에 적극적으로 동참하는 것은 대학제적 응용학문으로서의 여가학이 보다 존중받는 학문으로 되는 데에 중요한 요인이라고 하겠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examines the past and projected characteristics of the academic field of Leisure Studies in North America, soliciting expert opinions from leisure scholars in the region. Eight open-ended questions concerning various aspects of leisure studies were e-mailed to the members of the Academy of Leisure Sciences, the most prestigious organization of leisure scholars in North America, and their responses are presented. Although this study deals with foreign circumstances with respect to the academic study of leisure, their comments might well contain some useful messages for Korean leisure field as well since the region is where leisure studies first emerged and further advanced and it has significantly influenced Korean leisure studies. Accordingly, some implications for Korean field are discussed, which includes the importance of multidisciplinary collaboration and aligning with important social issues.
목차
Abstract
Ⅰ. Background of the Study
Ⅱ. Problem Statements
Ⅲ. Method
Ⅳ. Results
Ⅴ. Discussion
References
요약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