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Storytelling Effectiveness on the Festival Attraction and Visitors’ Satisfaction on Local Festivals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신현식 김창수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26권 제3호, 225~24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08.30

국문 초록
현재의 지역축제는 소재의 중복성과 프로그램의 모방성 및 획일성으로 축제의 매력성이 저하되는 문제를 가지고 있다. 아울러, 21세기는 소비자의 감성이 지배하는 감성마케팅의 시대이기 때문에 지역축제는 축제 소비자로서 축제 방문자의 감성을 보다 자극시켜 만족을 이끌어 낼 수 있는 새로운 접근이 필요하다. 그래서 본 연구는 상호작용을 목적으로 이야기를 통해 방문자와의 의사소통을 이끌어주는 새로운 축제 표현기법으로서 지역축제 스토리텔링에 관한 연구이다. 이에 지역축제 스토리텔링 요인을 이야기(story), 표현(telling), 상호작용(interaction)으로 구성해 축제매력성과 방문자 만족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지역축제 스토리텔링은 축제매력성과 방문자 만족 모두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지역축제 스토리텔링은 축제매력성 중 프로그램에 가장 높은 설명력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축제 프로그램 개발에 있어서 지역축제 스토리텔링을 적극 도입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방문자 만족에는 지역축제 스토리텔링 중 상호작용 요인이 가장 크게 영향을 미쳤는데, 이것은 스토리텔링의 궁극적 목적이 상호작용에 있다는 것을 증명해주는 것이다. 그러므로 본 연구는 지역축제 총괄 기획 및 연출 또는 축제 프로그램 개발 시에 기법으로 스토리텔링 도입의 필요성을 제언하는 뒷받침이 될 것이다. 즉, 축제가 표현한 내용과 의미를 축제 방문자들이 느낄 수 있도록 해당 축제만의 고유하며, 매력적인 이야기를 발굴해 다양한 방식으로 표현하는 지역축제 스토리텔링은 축제 방문자로 하여금 축제와 감성적 상호작용을 유발해 축제에 대해 더욱 큰 매력을 느끼도록 하고, 궁극적으로는 축제에 대한 만족도를 높이는 효과를 발생시키기 때문이다.
영문 초록
Local festivals these days have been faced with uncharacteristic contents which reduces tourist counts and negatively affects the brand image of local government. It is the aim of this study to introduce a storytelling as a new technique of local festivals resulting in interaction on the festival and with visitor through the story. Thereup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the storytelling effectiveness on the festival attraction and visitors’ satisfaction on local festivals. Research finding, this study also says local festival storytelling has meaningful effect on both the festival attraction and visitors’ satisfaction on local festivals. Especially, storytelling of local festival showed to the greatest r-square to program factor among the festival attraction. therefore the impose storytelling for local festivals development programs. And visitors’ satisfaction had the greatest effect to interaction among storytelling factor of local festival. this is to certify that interaction is aim of storytelling. The result is able to persuade the necessity of storytelling on the planning and direction and development of programs in the local festival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