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A Study of the influence of personal factors(innovativeness, self-efficacy, knowledge) on the use intention of vehicle navigation - A focus on a moderating effect of gender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박영아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26권 제5호, 261~276쪽, 전체 16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1.12.30

국문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차량 네비게이션 사용의도에 영향을 주는 주 요인으로서 개인혁신성, 지식과 자기효능감을 바탕으로 모델을 제시하고 실증 분석하였다. 또한 세가지 개인적 특성 요인들과 차량네비게이션 사용의도간에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가 있는지 여부를 검증하였다. 제주도에서 차량 네비게이션을 사용해본 395명을 대상으로 수집된 자료를 가지고 모델을 분석하였고 분석방법으로는 구조방적식모델분석과 조절효과 검증을 위하여 다중집단동등분석이 사용되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를 검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개인혁신성과 자기 효능감이 차량 네비게이션 사용의도에 유의미한 영향관계를 보인 것으로 밝혀진 반면 지식요인은 영향관계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개인 혁신성, 지식, 자기효능감으로 구성된 독립변수와 차량 네비게이션 사용의도간의 성별에 따른 조절효과를 검증한 결과 개인 혁신성에서 조절 효과가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개인의 혁신적 성향이 동일할 때 남성이 여성보다 차량네비게이션을 사용할 의도가 더 크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이론적·실무적 시사점과 더불어 한계점이 결론에서 논의되었다.
영문 초록
This article propose a model with personfal innovativeness, knowledge, and self-efficacy as the key personal factors to influence intention to use vehicle navigation. At the same time, this study examines whether there is an interaction effect between gender and intention to use vehicle navigation. The model was tested using data from 395 consumers who had used vehicle navigation in Je-Ju Island. The findings indicate that the personal innovativeness and self-efficacy are significantly related to the intention to use vehicle navigation. Also, the analysis indicates that gender has a role in moderating the relationship between personal innovativeness and intention to use vehicle navigation Limitations of the research are discussed and implications for marketing practitioners targeting tourism consumers are presented.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