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The Study on the Effect of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s of e-Learning in Hotel Business on Learning Transfer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지윤호 정민섭 변정우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27권 제1호, 355~374쪽, 전체 20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4.30

국문 초록
기업이 인적 자원을 계발하기 위한 핵심방안 중 하나로 e-Learning을 통한 학습이 자리를 잡아가고 있다. 특히 생산과 소비가 동시에 이루어지는 호텔기업의 특성에서 관련 직무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효율적인 교육방식으로서의 e-Learning의 핵심적인 요소가 무엇인지를 찾고자 시도하였고, 또한 호텔기업에서의 e-Leanring 유효성을 검증하고자, e-Learning의 품질적 특성과 지각된 유용성과 사용자 만족, 학습전이 간의 관계를 모형화를 통해서 이를 제시하고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e-Learning의 품질 특성은 지각된 유용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e-Learning의 시스템 품질 특성은 사용자 만족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을 나타났는데, 이러한 현상은 사용자가 e-Learning을 외재적 동기로 사용함으로, 사용목적이 활동 그 자체에 있다기보다는 그 활동을 통해 다른 목적을 달성하거나 어떤 보상을 받기 위한 경우이기 때문이었다. 둘째, e-Learning 사용자의 지각된 유용성은 사용자 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지각된 유용성은 학습전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쳤으나 사용자 만족은 학습전이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 본 연구의 시사점은 정보시스템 성공 모형에 기반을 둔 e-Learning 성공모형을 제시함으로 e-Learning의 품질과 유용성 및 만족, 그리고 학습 성과와의 연결성을 확인하고, 이를 통해 e-Learning이 단순한 교육훈련의 도구가 아닌 기업의 경영 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전략적 도구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시각의 출발점을 마련하였다.
영문 초록
The recent development of IT, consolidation of communication and multimedia technology have brought enormous changes in many organizations. Recently, e-Learning has grown rapidly in hotel business training field as a learning method which is easily accessible for every employee to get the proper self-led learning and job drilling programs anytime anywhere.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mplications for success in the rapidly expanding e-Learning market by analyzing how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 of e-Learning affect the usefulness perceived, user"s satisfaction and learning Transfer. For this purpose, we propose that the e-Learning success model should be evaluated based on theories related to information system success model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as follows. First, the qualitative characteristic of e-Learning had an effect on perceived usefulness but did not have an effect on users" satisfaction. Second, the perceived usefulness of e-Learning had an affect on user"s satisfaction. Third, the perceived usefulness of e-Learning and users" satisfaction had an affect on learning Transfer.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 모형 및 가설 설정
Ⅳ. 실증분석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