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영문명
- Impact of Hotel Internship Satisfaction on Corporate Image and Career-Path Decision Making
- 발행기관
- 대한관광경영학회
- 저자명
- 문소윤 강인호
- 간행물 정보
- 『관광연구』제27권 제1호, 107~130쪽, 전체 24쪽
- 주제분류
- 사회과학 > 관광학
- 파일형태
- 발행일자
- 2012.04.30

국문 초록
급변하는 사회와 기업환경에 있어서 현대인은 경제성장에 따른 생활수준의 향상, 가처분 소득과 시간적?활동적 여가 시간의 증대로 인하여 관광에 대한 욕구는 점점 높아지고 있다. 관광산업은 환경 친화적이면서 경제적인 효과를 극대화 할 수 있고, 또한 국가이미지를 높일 수 있다. 방문객을 위한 다양한 상품개발과 시설의 확충도 중요하지만 근본적으로 가장 중요한 것은 방문객에게 직접 서비스를 제공하는 유능한 인적자원의 확보이다. 특히 호텔?관광산업의 발전에는 전문성과 경쟁력 있는 관광전문 인력의 개발이 호텔?관광발전에 많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기 때문에 업계와 교육기관의 협력이 중요하다고 하겠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본 연구에서는 인턴십이 보다 효율적으로 운영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인턴십의 만족도를 파악하여 기업의 이미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를 알아보고 향후, 진로결정에 어떠한 영향관계를 보이는가를 연구하고자 하였다.
영문 초록
In our rapidly changing society, the interest of people in tourism is increasing due to improvement in living standards, increases in disposable income, and the availability of more leisure time. Tourism maximizes economic effects and can also enhance a country"s image. It is important to develop various products and to expand tourism facilities for visitors; however, the most important undertaking is to secure capable human resources who directly provide service to visitors. Cooperation between educational institutes and industries is especially important in the hotel and tourism industries, because the development of competitive and expert tourism-specialized human resources has a vast impact on tourism growth. In consideration of these issues, this study investigates the impact of internship satisfaction on corporate image in order that internships may be managed in a more efficient manner. The study also explores the causal relationships between career-path decision making and internships. Samples of this study include university and college students in Daegu and Gyeongsangbuk-do province who have completed internship programs in Korea and overseas. The survey was conducted for 10 days from November 1 to 10, 2011. A total of 30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67 were collected. Among them, 24 were excluded because they were outliers or incomplete. In total 243 questionnaires were used for the analysis.
목차
요약
Ⅰ. 서론
Ⅱ. 이론적 배경
Ⅲ. 연구방법
Ⅳ. 실증분석 결과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해당간행물 수록 논문
참고문헌
최근 이용한 논문
교보eBook 첫 방문을 환영 합니다!
신규가입 혜택 지급이 완료 되었습니다.
바로 사용 가능한 교보e캐시 1,000원 (유효기간 7일)
지금 바로 교보eBook의 다양한 콘텐츠를 이용해 보세요!
